조종남 박사 영전에

조종남 박사님은 위대한 신학자이셨습니다.

서울신학교를 마치고 큰 뜻을 품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셔서 에모리 대학교에서 웨슬리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으셨습니다(Ph.D). 이는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받은 웨슬리 신학 분야의 박사학위였습니다. 미국 올리벳 나사렛대학에서 교수로 일하시다가, 귀국 후 자연스레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신학의 권위자로 그리고 교계의 지도자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조 박사님의 활동과 업적은 자연스레 여러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게 되었으니, 미국 아주사퍼시픽 대학교에서 인문학 박사(H.L.D), 미국 에즈베리 신학대학원에서 신학박사(D.D), 그리고 모교인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신학박사(Th.D) 학위를 받으셨습니다. 이는 조 박사님의 업적이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것을 보여줍니다,

조 박사님을 말할 때 서울신학대학교를 첫 번째로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서울신학대학교에서 교수로 학장으로 일한 기간은 조 박사님의 일생 전부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입학하던 1968년 학장 취임식 때, 모교를 향한 열정과 미래의 비전을 밝히시던 모습은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충정로 3가 35번지 아현교회 지하 강의실 4칸에서 전교생이 공부하던 서울신학대학교를 부천으로 옮겨서 오늘의 서울신대의 토대를 마련하셨습니다. 그 당시 캠퍼스 건축을 위하여 여러번 미국을 방문하시면서 모금활동을 하실 때 격은 고생과 감동적인 일들을 말씀하실 때의 모습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조 박사님은 서울신대의 외형(이주와 건축)뿐만 아니라, 내용 즉 신학적 전통과 미래를 분명히 설계하셨습니다. 1968년에 “서울신학대학의 교육이념과 신조”를 제정 공포하여 서울신대의 신학적 정체성을 분명히 세우셨습니다. 이는 성결교회의 신학적 전통과도 일치하는 것으로서, 당시 모호한 것처럼 보이던 웨슬리 신학의 전통을 새롭게 확고히 정립한 것이었습니다.

웨슬리 신학이라는 역사적 깃발을 들고 있던 성결교회에 웨슬리 신학의 전체와 진수를 일깨워주셨습니다. 그리하여 오늘 우리 교단이 세계 웨슬리안 교회들과 교류할 수 있는 신학적 토대를 마련하셨습니다.

조 박사님은 한국 신학계에서 최고의 웨슬리 학자로서 웨슬리 신학을 대표하는 분이셨습니다. 장로교회 계통이 개신교의 2/3를 차지한 까닭에 칼빈주의 신학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마당에 조 박사님이 웨슬리 신학을 주창하신 덕분에 오늘날 웨슬리 신학은 칼빈주의 신학과 함께 한국 개신교 신학의 양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조 박사님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웨슬리 신학자이십니다. 일례로 미국에서 출판된 ⌜Contemporary Wesleyan Theology」란 책에는 전세계에서 저명한 웨슬리안 학자 40여명이 신학의 여러 주제를 웨슬레안의 입장에서 집필하였는데, 조 박사님은 7명의 자문위원 중에 한 사람으로 일하셨습니다. 이는 학문적 권위와 학자로서의 위치가 집필자들 보다 우위에 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입니다. 외국 신학자들도 Dr. John Cho라면 다들 인정하는 웨슬리 신학의 권위자이셨습니다.

조 박사님은 신학과 실천이 함께하는 산-신학자(living theologian)이셨습니다. 이는 웨슬리 신학의 한 특징인데, 조 박사님이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강의실의 신학이 목회현장에 유용해야 함을 강조하셨고, 전도 현장의 신학이 되어야 함을 가르치셨습니다. 88올림픽 때는 전도위원장을 맡으시고 잠실에서 직접 전도를 하셨습니다. 웨슬리처럼 교회와 사회를 복음으로 변화시키는 사역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셨습니다.  이제 조 종남 목사님은 역사가 되었습니다. 역사는 계승과 발전이 있는가 하면 단절과 퇴보도 있습니다. 이는 살아있는 후대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성결교회와 서울신학대학교가 조 박사님을 통해 주어진 웨슬리안 유산을 발전적으로 이어가기를 소망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