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파동이 50여일을 넘어섰지만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국민적 재앙 수준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처음 시작되어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제 전라남북도와 경남지역을 제외하곤 전국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미 전국 각지에서 200만 마리에 육박하는 소와 돼지가 땅에 묻혔지만 아직도 그 확산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특히 전 국민의 4분의 1이상이 이동하는 민족대명절인 설날을 앞두고 있어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될 것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다가는 전 국토가 구제역에 시달리다 모든 가축을 도살해야 하는 대재앙, 축산업을 뿌리 채 흔들어 버릴 수 있는 상황에 까지 도달할 수 있어 일부 지자체는 타향에 나간 자녀들에게 설날 부모 및 고향방문을 자제해 줄 것 까지 호소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문제는 이러한 구제역 확산을 가로막을 뚜렷한 방책이 없다는데 있다. 정부가 청정국 지위를 사실상 포기하면서 까지 종돈과 모돈까지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전국의 모든 소와 돼지에게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카드를 꺼냈으나 구제역의 확산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2주가 소요된다는 점, 현재의 방역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언제 경남과 전남·북의 방어선이 붕괴될지 모른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축산농가의 피해액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고 방역에 소요되는 비용, 백신 접종 비용 등 관련 비용은 2조원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여기에 겨울 지역축제의 90% 이상이 축소 또는 취소 되는 등 지역 경제는 사실상 마비상태로 이중삼중의 피해가 생겨나고 있다. 더욱이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수입량 증대 등의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어 향후 한국 축산업의 기반 회복이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 분석되고 있어 더욱 우려된다 할 것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구제역은 ‘인재’라 분석하고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의 특성상 초기에 신속하게 차단 방역 시스템을 운영했다면 초기 진압이 가능했겠지만 정부의 늑장대응은 현재의 상황을 불러일으킨 주범이다. 백신 접종시기도 잘못 판단했고 지금도 현장 공무원만 득달하는 상황이다.

정부와 공무원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도 뒤늦게 구제역에 대한 대처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한기총과 교회협 등이 성명을 발표하고 교회적 대처를 요청하고 나선 것은 지난 1월 초고, 각 교단들도 그 때서야 부랴부랴 입장표명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개별 교단별로 교회별 성도피해 조차 제대로 조사되지 않은 상황이며 관련 대처 또한 우려, 중보기도, 공무원과 농민에 대한 위로요청 등이 전부다. 물론 구제역 대처가 민간 차원에서 쉽지 않다는 점이나 방역과 이동 자제 등 외에는 이렇다할 대처법도 없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12월 중순부터 사실상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교회의 대책은 늦어도 한참 늦었음을 부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늦었지만 가장 효과적인 대처법을 찾는다면 결코 늦은 것은 아니다. 농어촌에 거주하는 그리스도인들 개개인이 생활 속에서 구제역 차단 노력을 펼치고 축산농가 출입을 자제하는 기본적 노력과 함께 피해 농가를 위로하고 격려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제역 파동이 마무리된 후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장기적인 노력을 준비해야 한다. 도시교회 차원에서 시골교회와 피해 농민을 돕는 민간 차원의 활동도 적극 펼쳐야 한다. 특히 구제역으로부터 우리 축산농가가 회복되기까지는 2년여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향후 교회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 질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