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에 기독교계 비판 잇달아
감리회 시작으로 교계 단체들 긴급성명 발표

아닌 밤중에 홍두깨처럼 국민들의 밤잠을 설치게 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불과 2시간 37분 만에 해제됐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건 1979년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이후 45년 만이다.

이번 비상계엄은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언론 보도로 소식을 접했을 정도로 급작스러웠다. 헌법에는 ‘대통령은 전시ㆍ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지난밤 비상계엄은 헌법이 정한 요건을 충족시키지도 못했을뿐더러 국회에 통고해야 한다는 조항 역시 지키지 않았다.

이에 대해 기독교대한감리회(김정석 감독회장)를 시작으로 기독교 단체들도 진보와 보수를 가리지 않고 12월 4일 비상계엄을 규탄하는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다.

한국교회 주요 교단 중에서는 처음으로 긴급성명을 발표한 기독교대한감리회는 “테러 혹은 재난으로 인한 국가의 위기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단지 정치적인 이유로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것에 괸해 국민들은 납득하기 어렵다. 이는 국민의 기본권과 자유를 지키라고 대통령으로 선출해 준 국민들에 대한 배신행위이며 헌법정신에 반하는 독재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총무 김종생 목사)는 “윤석열 대통령이야말로 국민의 자유와 안전을 위협하고 민주주의를 짓밟으며 대한민국을 심각한 위기로 몰아가는 장본인”이라며 “상황이 그렇지 않음에도 기어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국민을 불안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윤석열 대통령은 무릎꿇어 사죄하고 사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성공회 정의평화사제단·나눔의집협의회는 “우리는 너무나도 어이없는 방식으로 내란 행위를 실행한 윤석열과 그 정부, 적극 가담한 군경의 책임자들을 체포하고 일벌백계로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며 “하루속히 이와 같은 사태가 가능하도록 만든 구조와 사회, 국가 체제의 전환을 더 넓고 깊게 토론하며 함께 만들어 갈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한국복음주의교회연합은 “죄악의 정권은 하나님과 역사 앞에 씻지 못할 대죄를 저지르고 있다”며 “한국교회는 이제라도 역사의 죄인을 동조했던 죄악을 참회하고, 불의의 척결에 함께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성서한국(이사장 구교형 목사)은 “민주주의를 짓밟고 어처구니없는 폭거를 저지른 윤석열은 이제 더 이상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니다. 지금이라도 반헌법적인 비상계엄 선포를 철회하고 스스로 하야로 국민께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도 비상계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윤석열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했다. 기윤실은 “자신과 가족이 처한 정치적 법률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국가의 안보를 책임져야 할 군인을 사병처럼 활용하여 국회를 장악하고 국민을 위협하려 한 행위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범법 행위”라고 지적했다.

교회개혁실천운동은 “윤석렬 대통령을 축복하고 안수하며 옹호하였던 한국교회 지도자들과 성도들은 철저히 회개하고 온 한국교회와 국민들 앞에 사죄하여야 할 것”이라며 “한국교회는 정의와 평화를 폭압적 행위로 깨뜨리는 이 불의를 몰아내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명백한 위헌이자 불법’으로 규정한 한국YWCA연합회는 “민주주의를 무너뜨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시도는 내란에 해당한다. 이제 국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국민은 자유민주주의를 농락하는 대통령의 반헌법적인 권한 행사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와 느헤미야교회협의회도 대통령 퇴진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드러난 모든 불법적 행위에 대한 조사를 받고 그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대표회장 소강석 목사, 사무총장 김철영 목사)는 “세계 10위의 경제 선진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국가 사변 등의 중대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선포하는 비상계엄이 남용되는 것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충격이 되었다”며 “대통령은 자신의 지위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떤 책임을 부여받았는지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와 국회를 향해서는 국가 위상 회복과 여야 상생의 정치 복원을 주문했다. 기공협은 “현재 국정이 혼란스러운 것은 행정부만의 책임이 아니라 국회 역시 그 책임이 있다는 것은 온 국민이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가 국가의 위기 극복을 위하여 전력을 다해줄 것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