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난 20년 동안 수없이 같은 주제로 강의를 해 왔다. 대학뿐 아니라, 다양한 단체나 기업, 방송에서 같은 주제로 강연을 했다. 같은 주제로 책도 여러 권 썼다. 그 주제는 바로 ‘공감’이다. 상담학자이면서 신학자인 나에게 이 ‘공감’이란 주제는 매우 신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공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인간을 향한 신(神)의 마음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인간과 연합하기 위해 성육신하셨을 뿐 아니라, 인간의 밑바닥 감정까지 스스로 내려오셨다. 예수의 십자가는 소외되고 아파하는 인간이 하나님을 느끼고 그분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곳이다.

나는 ‘공감’을 설명하기 위해 가끔 권정생 작가를 떠올린다. 그의 문학 작품은 대한민국 아동들에게 스테디셀러이다. 어린 세대가 그의 책을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공감’이었다. 그의 한 수필집 머리말에 이렇게 적혀있다. “밖에 나가서 친구들과 놀고 싶을 텐데, 앉아서 책을 읽으라고 하기가 참으로 미안합니다. 그러니까 정말 읽고 싶을 때만 아주 조금씩만 읽으세요.” 순간 나는 아이의 숨은 애로를 느끼는 작가의 공감에 눈물이 찔끔 났다. 분명 아이들은 그 공감의 마음에 끌려 마법처럼 그의 책에 빠질 수 있었을 것이라 짐작한다.

기후재난이 난무하는 지금, 권정생 작가가 생태주의자였다는 점이 또다시 내 마음을 훔쳤다. 유명한 작가가 된 이후에도 그는 “변변치 않은 책 하나 내는 건 나무한테 참 미안한 일”이란 말을 자주 하였다. 그는 아동뿐만 아니라 나무의 아픔까지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참 어른이었던 게 분명하다. 

나는 그를 떠올릴 때마다 하나님의 마음을 참 많이 닮은 분이었으리라고 짐작한다. 하나님이 만드시고 참 좋다 하셨던 자연이 인간의 손에 훼손되고 기후재난으로 신음하는 요즘, 나는 더더욱 권정생 작가의 유별난 공감 능력을 배우고 싶어졌다.

어느 날 문득, 난 한국교회가 이런 공감 능력을 발휘하여 종이 주보 없애기 운동을 벌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몇몇 교회 목회자들과 상의를 하기도 했다. 종이 주보의 전통을 갑자기 접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다행히 내가 출석하는 교회는 종이 주보를 과감하게 없애고 디지털 주보를 시작하는 첫 번째 교회가 되었다. 

나는 종이 자체를 무조건 없애자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성경책은, 그리고 권정생 작가의 책은 계속 종이책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배를 드린 후, 두고 나오는 종이 주보는 이제 과감하게 없애도 되지 않을까? 스크린과 홈페이지에 띄우기만 해도 나무에 덜 미안해도 될 텐데 말이다. 

묵상하면, 나무의 아픔은 곧 하나님의 아픔이다. 나무의 아픔을 공감한다면 곧 하나님의 아픔을 공감하게 된다. 한국교회가, 그리고 성도들이 이 공감의 자세로 생태계를 사랑하고 기후재난을 대처해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