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 투약 혐의가 잇달아 터지면서, 마약 중독이 다시금 전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약 중독자들의 예방과 치유, 회복에 대한 교회의 관심과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유명인들의 범죄나 윤리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은 그들의 유명세가 ‘모방 심리’를 부추기기 때문으로, 그 대표적인 사례가 소위 ‘베르테르 효과’다. 베르테르 효과는 1974년 미국 사회학자 데이빗 필립스가 처음 언급한 것으로 괴테의 소설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주인공 베르테르가 권총으로 자살하자 유럽에서 모방자살이 유행처럼 번져나간 현상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유명 연예인이 자살하자, 평균 자살자가 이전에 비해 2.5배나 급증한 적이 있었다.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마약 청정국 중 하나였던 우리나라에서, 최근 몇 년 사이 마약 관련 범죄들이 급증하며 마약에 대한 접근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는 위험 신호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던 터였다. 대검찰청 ‘2021 마약류 범죄백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 단속된 국내 마약범은 총 1만 6천여 명으로 지난 11년간 66% 늘었다고 한다. 마약은 특성상 드러나지 않은 중독자 수가 훨씬 많기에 정확한 측정은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국내 전체 중독자 수가 최소 20만에서 최대 100만 이상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마약 중독의 급격한 확산은 이제 실제 우리 주변과 일상에서 체감될 지경이 됐다. 강남의 학원가에서 마약 음료가 유포되는가 하면, 한 군소 정당의 대표가 대마를 흡연·소지한 혐의로 입건되고, 주말 대낮에 캠핑장에서 마약을 투약한 젊은이들이 난동을 부리는 사건도 있었다. 공항에서도 마약이 잇달아 적발되며 단속에 비상이 걸렸다. 마약 유통에 개입한 조직폭력배들과 10대 마약상이 검거되기도 했다. 정부 조사에서 ‘인터넷’을 통한 마약 거래가 2009년 2%에서 2021년 12%로 급증했다.

이러한 마약 중독은 수많은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하고 국가와 사회 전체를 붕괴시킨다.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혼을 병들게 하고 악에 물들게 한다. 교회는 절대 이를 좌시하지 말고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 먼저는 국가 지도자들에게 마약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이를 발본색원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해야 한다. 

기독교계가 더욱 적극 나서야 할 부분은 앞서 언급했듯 예방과 치유와 회복이다.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마약 중독자 3명 중 1명(32%)이 ‘혼자서’ 생활한다고 응답했고, 마약 중독자 중 대다수인 92%가 마약 끊기를 시도했는데 이를 위해 ‘혼자서 노력’(53%)한다는 이들이 가장 많았다. 1년 이상 마약 끊기에 성공한 이들은 절반 정도(5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고립된 이들이 마약 중독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고, 또 그들 중 대부분이 중독 극복을 위해 다른 이들의 도움을 받지 않거나 못하는 상황이며, 결국은 대부분이 극복에 실패한다는 의미다.

중독 문제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는 무엇보다 주변인들의 조력이 매우 중요하다. 교회는 소그룹과 상담 인력 등을 적극 활용해, 중독 문제 예방과 회복을 위해 도와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중독자들을 정죄하고 비난하는 태도를 지양하고, 그들을 진정으로 구원하고자 하는 사랑의 마음을 중심에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