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기업과 소비자, 기업과 시민이 보폭을 함께 
하고, 생활 속에서 ESG를 실천하는, 
행동하는 ESG가 필요하다. 

ESG가 산업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화두이다. 비재무적 요소인 ‘친환경’, ‘사회공헌’, ‘투명한 지배구조’를 의미하는 ESG라는 용어는 2006년 UN이 ‘Who Cares Win’이라는 보고서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했으며, 국제 투자기관 연합인 UN PRI가 ESG를 금융 투자 원칙에 포함하면서 현재의 ESG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되기도 하고,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사항을 기업활동에 내재시킨 관리의 개념으로도 사용된다. 기업은 ESG라는 단어를 표현하지 않았던 과거에도 ‘친환경’ ‘사회공헌’ ‘투명한 지배구조’와 같이 지속가능 경영을 추구해 왔다.    

20여 년이 지나서 ESG가 다시 화두로 등장하고 중요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미국에서 시작된 ‘ESG경영 기업에 책임투자를 강조하고, 착한 기업에 투자하겠다’는 행동주의 펀드의 투자기준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글로벌 신용평가 기관인 Moody’s와 S&P도 ESG 평가 결과를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등 상대적인 평가등급이 매겨짐으로써 ESG 경영전략이 재무적인 요소와 더불어 기업전략에서 빠질 수 없는 더블포스트가 된 데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도 친환경, 사회공헌, 투명한 경영환경 구축을 위한 기업들의 경영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투자기관, 연기금 등이 ESG 경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ESG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규제나 제한, 스코어링의 관점보다는 지속가능을 위한 최유효하고 적극적인 수단으로 인식하려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ESG는 기업의 의무만은 아니며, 기업과 소비자, 기업과 시민이 보폭을 함께 하고, 생활 속에서 ESG를 실천하는, 행동하는 ESG가 필요하다. 

이러한 ESG경영에 대한 관심이나 실천 요구는 비단 영리 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공공기관이나 비영리 기관, 특히 사회복지 기관과 같이 공공사업을 하는 기관은 물론 교회 등에서도 ESG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신학대학교는 ‘글로벌리더십경영대학원’을 개원하여 ESG경영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융복합적인 실용학문을 접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였다.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융합대학원은 영리법인, 비영리기관, 교회, 사회복지기관의 리더들에게 유용한 학습의 장이 될 것이며, ESG경영을 비영리 조직으로 확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그 어느 때 보다 상생이 필요하다. 경영과 생활 속에서 ESG를 실천하는, 행동하는 ESG를 통해 우리는 그 상생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