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대한민국은 심각한 국가적 문제요,
절실한 개인의 문제이다.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기를 위해
국가와 개인 모두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는 무엇일까? 그중에는 ESG 경영과 저출생-고령화 위기가 포함될 것이다. 기업을 경영하는 사람들의 일부는 ESG를 조직의 생존과 연관시킨다. 우리나라 인구 동향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심각한 저출생-고령화 현상을 대한민국 존립의 위기로 보는데 이는 곧 국민들 삶의 위기이기도 하다. 개인, 조직, 국가 모두가 지속가능성의 과제 또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는 것으로, 2004년 UN 보고서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것이 세계적 관심으로 확산한 계기는 20년 1월, 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CEO인 래리 핑크(Larry Fink)가 투자자들과 기업에 “앞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 결정의 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하면서 부터다. 이제 기업의 신용평가에, 국민연금기금과 같은 대규모 공공기금의 투자에, 주식 상장의 조건에 ESG 경영은 필수가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소비자 역시 그들의 눈높이로 이를 평가한다. 반환경적, 반사회적 기업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하고, 친환경적이고 사회적 가치를 잘 반영한 제품에 대해 가치구매를 한다.

재무제표가 아닌 사회지표를 강조한 ESG 경영이 기업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공공기관으로, 비영리기관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앞으로 종교기관 등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필자는 ESG 경영을 자연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구성원들과 더불어, 그리고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함으로써 그 존재를 미래까지 지속시키고자 하는 정의로운 방법론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인권 존중, 차별 문제 해소, 사회적 약자의 보호, 윤리, 공정, 협력 등 공동선(共同善)을 이루고 미래세대까지 더욱 행복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신학대학교는 올봄에 신학대학교 최초로 ‘ESG 신교육 경영’을 선포하며 대학의 ESG 경영을 선도해가고 있다. 교육기관, 사회복지기관, 교회 등 비영리기관 지도자들도 ESG 경영으로 지속가능성의 길을 열어야 한다. 

다수의 국가가 직면한 또 다른 문제 중의 하나가 저출생ㆍ고령화의 인구구조이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국가들로 일본(30%)을 필두로 이탈리아, 핀란드, 독일, 프랑스(22~24%)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인류 문명사에 없는 초 초저출산(’22년 합계출산율 0.78 명)의 영향으로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2044년에는 노인인구 36.7%의 세계 최고령사회가 될 것이다(22년 17.5%). 동시에 기대수명도 88.0세로 증가하면서 90세 이상 노인인구도 약 100만 명으로 급증할 것이다(22년 28.1만 명, 40년 95.3만 명). 

늙어가는 대한민국은 심각한 국가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절실한 개인의 문제이다. 평균 30여 년을 일하고 사망하기 전까지 30년, 50년 아니 그 이상을 노년기로 살아야 하니 말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정부는 본격적으로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을 하고 있으나 성과가 미흡하다. 개인들은 노년기 준비는 물론이고 인구 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지 못하다.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기를 위해 국가와 개인 모두 경각심을 갖고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2015년에 제정된 ‘노후준비지원법’은 개인의 노후 준비에 대해 국가적 관심을 두겠다는 의미이다. 개인이 그 길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보여줄 우리 사회 지도자가 필요하다. 

서울신학대학교는 올해 글로벌리더십경영융합대학원을 신설하여 리더십, 행정ㆍ경영, 복지의 세 개 트랙을 운영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가치와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응해 갈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서이다. 리더십 관련 자격증, 노후준비 관련 자격증도 준비 중이다. 조직의 관리자들에게, 초고령사회를 준비해야 하는 개인과 리더들에게 유용한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지금 우리 모두에게 지속 가능한 경영과 삶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