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는 그의 삶에 있어서 두 가지 큰 기쁨(說. 悅) 즉, 배우고 익히는 일(學而時習之면不亦說乎아)과 먼 곳으로부터 벗이 찾아옴(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說乎아)을 말한 일이 있습니다. 그의 가르침을 기록한 논어의 제2권 위정(爲政)에는 자신의 지나온 인생을 돌아보며 나이 들어감에 따라 자신이 어떻게 성숙해 왔는가를 말하고 있습니다.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고(志學), 30세에 배운 일에 대하여 뚜렷한 식견을 가져 서게 되었고(立), 40세에 무슨 일에든지 사리를 알게 되어 남의 말이나 자기 의심으로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으며(不惑), 50에 하늘이 준 사명을 알게 되었으며(知天命), 60세에 귀로 들어오는 소리가 마음에 통하여 거스름이 없어(耳順) 생각하지 않아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알게 되고, 70이 되니 마음에 하고자 하는 대로 다 하여도 도리에 어긋남이 없었다(從心所欲 不逾矩).

나이를 먹는다(食)는 말은 소비한다는 뜻입니다. ‘먹어 버린다.’라는 말은 없어진다는 뜻입니다. 사람이 태어날 때, 하늘이 허락하여 내려준 세월의 길이와 양(量)이 있습니다. 한 해를 살아, 한 살을 먹는다는 것은 정해진 양의 세월 가운데 그만큼을 소비하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먼 곳에서 전해 오는 정보, 안부, 기별 따위를 소식(消息)이라 하는데, 아마도 모든 인간사(人間事)가 목에 드나드는 숨(息), 즉 목숨을 사라지게 하는(消) 것들이라는 철학적 의미가 담긴 말이라 생각합니다. 

“나이를 먹는다”라는 말이 허무한 느낌의 자조적(自嘲的) 표현이라면, “나이가 든다”라는 말은 긍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우선, 유치하거나 경솔하지 않게 처신하면 의젓하다는 뜻으로 철이 든다는 말을 대신하여 씁니다. 먹는다는 말이 소모적이라면 든다는 말은 생산적입니다. 푸르던 잎에 새로운 색깔이 보이면 단풍이 든다고 말합니다. 나가다의 반대 방향의 개념으로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하는 일도 없이 나이만 먹었다.”라는 말은 소모적인 인생을 살았다는 뜻입니다. 나이를 먹었어도 머리와 가슴에 들어있는 것이 없고, 이루어 놓은 것이 없다는 표현입니다. ‘나이가 들수록’이란 말은 나잇값을 하라는 책임감의 표현입니다. 

대중가요에서도 “나는 가슴이 두근거려요”하는 17살이나, 이팔청춘(2×8)이라는 16세 등 나이에 해당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봄이 지나도 다시 봄, 여름 지나도 또 여름” 참으로 지루한 나날 “빨리 어른이 됐으면, 서른 살이 되고 싶어”하고 바라던 어린 날이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가을 지나면 어느새 겨울, 겨울 지나고 다시 가을. 날아만 가는 세월이 야속해 붙잡고 싶어, 다시 서른이 된다면 날개 달고 날고 싶어”하는 마흔 살에는 “우린 언제나 모든 걸 떠난 뒤에야 아는걸까?”하며 인생을 아쉬워하게 됩니다(양희은. 내 나이 마흔 살에는). “안타깝게도 어른이 되어 가는 아이들과, 별수 없이 나이 먹은 철없는 친구들. 쉰이 되어버려도 나는 또 살고 있겠지”하며 “울지 않을 거야“하고 마음을 다지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최백호. 쉰이 되면). 

하나님의 사람 모세는 “인생은 기껏해야 칠십 년, 근력이 좋아야 팔십 년, 그나마 거의 고생과 슬픔에 젖은 것, 날아가듯 덧없이 사라지고 맙니다. 우리에게 날수를 제대로 헤아릴 줄 알게 하시고 우리의 마음이 지혜에 이르게 하소서. 동틀 녘에 당신의 사랑으로 한껏 배불러 평생토록 기뻐 뛰며 노래하게 하소서. 우리가 고생한 그 날수만큼, 어려움을 당한 햇수만큼 즐거움을 누리게 하소서.”하고 기도하였습니다.(시90:10~15)

세월이 갈수록 깨닫고 헤아리며 소망을 가질 수 있다면, 그는 나이를 먹지 않고 들어가는 사람입니다. 나이를 얼마나 먹었습니까? 아니면 얼마나 나이가 들었습니까?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