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월 18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해제함에 따라, 299명까지 허용되던 행사와 집회, 수용 가능 인원의 70%까지만 허용되던 종교시설 인원 제한도 동시에 없어져 4월 24일 주일에는 모든 교회들이 아무 제재 없이 예배를 드렸다.

4월 25일부터는 종교시설 등 실내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음식물 섭취 금지조치도 모두 해제됐으며, 코로나 감염병 등급도 현행 1급에서 2급으로 조정됐다. 이에 따라 방역을 명분으로 한 정부의 부당한 예배 간섭과 탄압은 사실상 종료됐다.

그러나 기독교계는 그저 안심하고 기뻐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전문가들은 언제든 이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사태가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예측 및 경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사회 각계에서는 이에 대비해 방역 인프라 구축 등의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기독교계도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신학적·목회적·의학적으로 반성하고 ‘징비록’으로 삼아, 다시는 어떤 감염병이나 재난이 닥쳐 와도 예배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가 침탈당하는 일이 없도록, 그러면서도 국민들에게 염려나 비판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반성해야 할 사항들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첫째는 ‘선제적 방역’의 실패였다. 기독교계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기독 의료 전문가들과 함께 예배 및 모임에서의 방역 방침에 대해 논의하고 대책을 세워 정부 측에 이를 먼저 제시했어야 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못하고 사태를 관망하는 동안,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를 시작으로 정부와 주요 지자체 등이 교회를 표적 삼아 일방적으로 행정명령 카드를 꺼내들었다. 기독교계에서는 뒤늦게 주요 연합기관이나 교단 차원에서 방역 방침을 세웠으나, 정부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끝까지 일방적 명령에 따를 것만 종용했다.

둘째는 단일화된 지도력의 부재였다. 이는 기독교계의 장점이자 단점이기도 한데, 코로나19 대처에 있어서는 그 단점이 너무 극명하게 드러났다.

저마다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정도와 대처하는 방법 등에서 크고 작은 의견차가 있다 보니, 스스로도 통일된 모습을 보이지 못했을 뿐 아니라 정부 당국과의 대화도 주도적으로 끌고 가기 힘들었다. 당국 지도자들과의 대화 시에도 분열된 지도력으로는 무게감 있는 목소리를 전달하기 어려웠다.

셋째는 일부 양 극단의 반목이었다. 단일화된 지도력이 없고 서로 의견이 조금씩 다르더라도, 전체 기독교계가 합목적적으로 협력했다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쪽 극단에서는 반대쪽을 향해 너무 과격하다고, 다른 한쪽 극단에서는 반대쪽을 향해 신앙을 타협한다고 비난하느라 그럴 기회를 잃었다.

이 밖에도 코로나19 사태를 반추해 보면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남는 부분들이 많다. 한국교회는 당장 예배에 대한 제재가 사라진 것을 기뻐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 같은 과거를 교훈으로 삼고 아직도 진행 중인 관련 소송들에서도 끝까지 최선을 다해 예배 자유를 영구히 지켜낼 수 있는 판례들을 남겨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이를 계기로 모든 교인들에게 예배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조선의 지도자들은 임진왜란을 겪고도 그것을 통해 진정한 교훈을 얻지 못해, 얼마 지나지 않아 병자호란이라는 또 다른 비극을 겪었다.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은 부디 그 같은 우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