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전에, 과감한 개혁 정치로 난세를 구한 ‘장거정’(張居正 1525년~1582년)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1571년 명나라는 국가의 한 해 재정 수입을 초과하는 지출로 경제적 위기를 맞이하였다. 관리들의 탐욕과 낭비, 방대한 군비는 궁핍한 재정부담을 가중시켜 국가의 재정을 바닥나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봉건 통치 계급의 착취행태가 갈수록 심각해지자 사회갈등과 대립이 첨예해졌다. 농민봉기가 도처에서 일어나 명나라는 도처의 화약고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위기상황에 직면했다. 

이때, 심지가 굳고 담력이 크며 지모가 풍부한 장거정은 1567년에 내각에 들어간 후 각종 폐단을 없애기 위해 목종에게 ‘진육사소’(陳六事疏)를 올려 정치적 식견을 인정받았다. 황상은 장거정의 세심하고 깊은 사려를 인정하고 나라를 향한 일편단심의 충성을 높이 칭찬하였다. 

장거정은 이 상소문에 다음과 같은 행정 개혁 여섯 가지를 제언했다. 

“첫째, 공론을 줄이십시오. 둘째, 기강을 바로잡으십시오. 셋째, 조령을 중시하십시오. 넷째, 드러난 명성과 실제의 공이 명실상부하도록 하십시오. 다섯째, 나라의 근본을 공고히 하십시오. 여섯째, 군비를 바로 갖추십시오. 엄하게 군정을 살피어 훈련을 강화하고 변방을 견고하게 하십시오.”

장거정은 여러 방면에서 개혁을 실시했다. 정치 방면에서 그는 관리의 공무 집행을 정리 정돈하고 남아도는 인원을 없애며 관리들의 치적을 제대로 살피는 것을 중시했다. 그 역시 수리 공사를 일으켰는데, 이름난 수리학자 반계순(潘季馴)에게 황하가 남하하여 황하강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재현되지 않도록 황하 치수 사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이로써 물에 잠겼던 전답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고 수십 년 동안 버려져 있던 땅들이 농경지와 뽕나무밭으로 변하게 되었으며 조하(曹河)가 제 기능을 발휘해 북경까지의 직통 수로가 재개되었다. 이처럼 장거정의 개혁은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그의 개혁은 권문세도가와 지방 토호들의 이익을 건드려 그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때, 장거정은 황상에게 사직을 청하며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저의 모든 직위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자리입니다. 사람들은 제가 제멋대로 권력을 휘두르며 세도를 부린다고 말하지만 도리어 저의 직무가 바로 권위를 세워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제가 오로지 환한 안색으로만 아랫사람들의 의견을 따른다면 어찌 나라의 막중한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겠습니까? 제가 공무를 제대로 수행하려면 대권을 홀로 독차지하고 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황상은 어좌에서 내려와 장거정을 일으켜 세우며 “선생이 있어야 나라가 바르게 설 수 있습니다”라고 하며 중상모략을 하는 무리를 떨치고 장거정을 지지하였다. 

여당과 야당은 서울과 부산의 보궐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당세를 불려 국정 운영의 기세를 잡으려고 전략적 지혜를 총동원하고 있다. 

지도자가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공동체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 지도자는 단순히 좋은 사람, 똑똑한 사람, 유명한 사람이 아니라 공동체를 바르게 이끌어가야 할 믿을 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통찰력과 분별력과 올바른 판단력과 결정력과 추진력이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우리 사회는 지도자로 자처하는 사람들 가운데 검증된 사람, 믿을 만한 사람이 많지 않은 데 어려움이 있다. 이제 우리는 선동가가 아니라 공동체의 지도자를 선택할 줄 아는 성숙한 사회가 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