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건 교수, “미국 종교와 정치 밀접...박명수 교수, “한국, 정책만이라도 반영해야”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소장 박명수 교수)는 ‘정치와 종교:한국과 미국’이란 주제로 지난 3월 28일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제16회 영익기념강좌를 개최했다.
4·11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기독교의 정치참여가 이슈가 되고 있다. 기독교계에는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기독교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국회의원 60%가 기독교인이고, 장로 대통령이 당선됐는데 정치와 경제는 물론 교회의 신뢰도가 동반 침체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19대 총선에서 기독당이 다시 원내 진입을 시도하고 있고, 각 정당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출사표를 던졌다. 오랫동안 논쟁이 되어온 기독교인 정치 참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소장 박명수 교수)는 ‘정치와 종교:한국과 미국’이란 주제로 지난 3월 28일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제16회 영익기념강좌를 개최했다. 이날 영익강좌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기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온도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종교사회학회장 김성건 교수(서원대)는 미국의 경우, 60대 이래 기독교 복음주의 권의 정치참여가 활발하다고 밝혔다. 반면, 박명수 교수(서울신대)는 한국의 경우, 대통령이 장로이고, 대다수의 국회의원이 기독교인이지만 불교에 비해 기독교 정책이 제대로 반영조차 되지 못했다고 주장해 대조를 이뤘다. 

우선, 김 교수는 기독교와 정치 관계를 미국 복음주의 정치참여 사례에서 찾았다. 김 교수는 발제에서 올해 대선을 앞두고 있는 미국에서는 종교와 정치는 분리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종교가 정치에서 언제나 중요한 세력이 되고 있고 복음주의자들의 숫자와 영향력이 최근 증가되고 있다”면서 최근 치러진 몇 차례 대통령 선거에서 복음주의, 특히 근본주의 진영의 우파 정치참여가 그 사례라고 설명했다. 

한국종교사회학회장 김성건 교수(서원대)는 미국의 경우, 60대 이래 기독교 복음주의 권의 정치참여가 활발하다고 밝혔다. 반면, 박명수 교수(서울신대)는 한국의 경우, 대통령이 장로이고, 대다수의 국회의원이 기독교인이지만 불교에 비해 기독교 정책이 제대로 반영조차 되지 못했다고 주장해 대조를 이뤘다.
김 교수는 “미국 개신교 복음주의가 최근 1970년대 이래 정치(특히 우파)에 예전보다 한층 두드러지게 참여하게 된 데는 1960년대 일어난 ‘성(性)의 혁명’으로 집약되는 ‘급진적 문화변동’이라는 일대 쇼크에 대한 ‘반응’이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60년대 확산된 성 혁명, 신은 죽었다는 사상, 마약, 로큰롤 등 급진적인 문화 쇼크는 복음주의권의 정치참여를 한층 두드러지게 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대선과 관련해 복음주의 보수 기독교인들이 다른 후보에 비해 낙태나 동성결혼 등의 이슈로 가장 보수적 성향을 보이고 있는 샌토럼을 지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샌토럼이 복음주의 기독교인들로부터 지지를 받는다는 사실은 정치에 대한 미국의 보수적 종교의 영향력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주는 대목”이라며 “세속적인 유럽과 달리 미국 사회 전반에 퍼져있는 종교의 ‘활력’과 ‘잠재력’을 고려할 때 미국의 독특한 전통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올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한국에서 기독교가 어떻게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이명박 정부 시대의 정치와 종교’에 대해 발제한 박명수 교수는 한국 기독교의 정책이 정치권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독교공공정책포럼의 대표이기도 한 박 교수는 “장로인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 기독교가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고, 불교가 가장 많은 혜택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불교는 종교차별금지법, 자연공원법 개정, 전통사찰보존 및 지원법 개정, 템플스테이 예산, 연등축제의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요구해 모두 관철됐다고 평가했다. 반면, 기독교는 역사(국사)교과서의 기독교 홀대와 과학 교과서의 진화론 우대문제, 재개발로 사라지는 개척교회 등의 사례 를 볼때 정책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기독교의 정책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것은 기독교를 대표적인 창구도 없었고, 기독교 정책을 제안하는 단체도 없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기독교의 구체적인 정책을 각 정당과 정부에 적극적으로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사회에서 기독교도 정치권에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행위를 통해 기독교인의 주장을 관철 시키는 정치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박 교수의 결론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