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상담의 첫째 목적은 영적인 전인건강이다. 이를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와의 진실하고 인격적이며 살아 있는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둘째 목적은 정서적인 전인 건강이다. 정서적 건강은 우리 내면에 숨겨져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계발하는 것이다. 셋째 목적은 관계적인 전인 건강이다. 우선 하나님과의 관계, 다음으로 부모와의 관계, 나아가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의 치료와 회복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만나기 단계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청소년을 직접 상담하는 경우 신뢰 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모를 상담하는 경우 지지와 격려가 필요하다. 종종 부모들과 청소년들은 상호 관계의 긴장과 압력 때문에 혼란스러워하고 실망하고 상처를 받는다. 분노, 자존감, 미래에 대한 불안, 과거에 대한 죄의식 등과 같은 문제들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감, 피조물 감각, 의존 감각, 예수 그리스도와 맺은 관계의 본질, 예배의 경험 그리고 기도의 활용 등에 대한 감각의 정도를 탐색한다. 학교, 여가 활동, 가정, 부모, 종교, 장래에 대한 계획, 데이트, 성(性),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 걱정거리, 비슷한 문제들에 관하여 이야기 하도록 격려한다.
맞물리기 단계
청소년들은 자신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다음 네 가지 반응을 보인다. 첫째 문제를 억누르면서, 외로움, 백일몽, 친구들로부터의 고립이나 움츠림, 무관심, 일상적인 관심들과 행동들의 단념, 또는 정신 신체 질병이나 불안, 학업의 실패, 심각한 정서적이고 행동적인 장애등을 나타낸다. 둘째 문제를 표출하여,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방법 즉, 심한 과음, 약물 남용, 거짓말, 절도, 폭력, 범죄, ‘갱’행동, 반항 등을 하면서, 이것들은 청소년들에게 위력감, 독립감, ‘체제에 저항하는’ 방법, 친구들로부터 수용 받고 이를 지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셋째 문제로부터 도피하여, 집에서 가출하거나, 약물과 알코올의 도움 혹은 심리적으로 세상에서 도피하고,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넷째 문제에 충실함으로서, 문제에 정면으로 도전하여 직시하고 친구들이나 믿을만한 어른들과 함께 그 문제에 관하여 이야기 하거나 책을 읽고, 비교적 원만하게 청소년기를 헤쳐 나간다. 상담자는 위의 네 형태 중에서 내담자가 어떤 행위를 하고 있는가를 탐색한다.
끝내기 단계
청소년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성숙하고, 생활양식, 믿음, 내적인 평온, 대인 관계 등에 있어서 그리스도를 닮는 성인들이 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내담자로 하여금 영적인 전인건강, 정서적 전인 건강, 관계적인 전인 건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청소년에게 삶을 계획하고 가치를 명확하게 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장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만들어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