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과 미국 기자 석방,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과 유성진 씨 석방에 이은 이산가족 상봉 합의 발표, 중국의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의 방북, 대북 온건주의적 입장의 일본 민주당 집권 가능성 등 동북아 정치지형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동안 대립일변도였던 남북관계 변화의 새로운 전기가 형성되고 있다. 현 정부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남북관계 등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현정은 회장의 방북 합의에서 이산가족 상봉의 문제에 주목한다.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주의적 문제로 현재 우리나라에 9만 2천여명에 이르는 이산가족이 있으며 이들 중 여든이 넘는 고령자가 많아 매우 시급한 문제다.

이산가족 상봉은 적십자 접촉이 시작되면서 1985년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 상호교환 방식으로 성사됐다. 본격적인 상봉은 15년이 지난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물로 시작되어 매년 2~3차례씩 진행되었다. 그러나 상봉은 2008년 2월초 화상편지 시범 교환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비핵개방 3000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북한의 거부감이 그 이유다. 하지만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인 문제로 중단되어서는 안된다. 그런 점에서 북한 정부가 늦었지만 상봉에 합의한 것을 환영하며 현 정부도 더욱 성사에 힘써야 할 것이다.

상대방이 비록 원수라 해도 ‘사랑’으로 품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며 우리 기독인의 정신이다. 남북이 대립대결로 가더라도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인 문제는 결코 중단되어서는 안된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이 정례화되고 더욱 확대되며 중단없이 추진되도록 남북의 노력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