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는 적절한 빠르기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 만일 설교가 시종일관 동일한 빠르기로 진행된다면 회중은 청취의 피로를 느끼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압축 기법이다. 일명 ‘휘몰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법은 대략 한 문단 정도를 보통 속도의 1.5~2배의 빠르기로 처리함으로 빠르기에 변화를 주어
설교의 생동감을 살리고 회중의 집중력이완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향한다. 가급적 중요한 사항의 전후의 예비적 혹은 부가적 내용을 담은 한 문단 정도에 이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편의 설교에 2~3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점층법과 연결 지을 경우 그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설교의 진행과 관련하여 설교자들이 실제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주요한 기법으로 휴지(Pause)기법을 들 수 있다. 쉬기란 설교자가 문장과 문장 사이 문단과 문단 사이 혹은 문장 중간에 3~5초 동안 설교를 중단하는 기법을 말한다. 휴지 기법은 설교의 일관적인 흐름에 변화를 주어 회중의 ‘상투적인 경청’의 흐름을 중지시키는 것으로 경청의 분위기를 새롭게 하고 회중들로 생각하게 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교가 말이라면 그 말의 한 복판에 침묵을 집어넣음으로 더 강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사실 이 기법 하나만 적절하게 활용하더라도 설교의 지루함은 훨씬 경감될 수 있을 것이다. 휴지 기법은 한 편의 설교에서 대략 3~4회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휴지가 길어지면 설교의 진행이 지루해지고 반대로 보통보다 짧아지면 호흡이 급박해 지며 생각할 여유를 잃게 된다. 특히 이 기법을 사용할 경우 설교자는 휴지 이후의 문장을 처리할 때 시선이 원고에 가지 않고 회중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교자는 빠르기 뿐 아니라 음성의 고저에도 변화를 주어야 한다. 특히 설교자가 강조하려는 ‘절정’ 부문은 설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회중의 심장이 불을 지피는 처리가 요청된다. 설교자의 전 존재가 투여되고 설교자의 열정이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관건인데 대략 8~9의 음높이로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가급적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교 진행의 따분함(?)을 제거하기 위해 설교자가 시도해 봄직한 또 하나의 시도는 일체의 인토네이션이나 엑센트 혹은 톤의 변화를 무시한 채 마치 로봇의 기계음처럼 설교의 일정 부분을 처리하는 기법이다. 소위 ‘지선상의 아리아’로 명명되는 이 방식은 설교자의 습관적인 억양과 강세 그리고 속도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일정한 흐름을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이 기법은 음악의 오선지 어느 한 음 높이에 문장을 올려놓았다고 상상하고 처리하면 된다. 샵이나 플랫없이 그 음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처럼 한 문단 전체를 일체의 높낮이, 억양의 변화 없이 처리하되 가급적 통상시 빠르기보다 1.5배 정도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휘몰이법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한 편의 설교에서 2~3회 정도 시도하면 적절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