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살 집과 일부 동산을 제외하고 331억원의 재산을 청소년 장학과 복지사업을 위해 내어 놓기로 했다. 이는 평소 “오래전부터 사회를 위해 소중하게 쓰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왔다”는 말에서 확인되듯이 가난하게 살아온 이 대통령의 소신의 반영이란 점에서, 또한 대선 직전 전 국민에게 공개적으로 약속했던 공약을 구체화한 것이란 점에서 높이 평가하며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
물론 기부 약속을 19개월 만에 이행한다는 점과 서민행보를 하는 과정에서 발표됐다는 점에서 때 늦은 실천이라는 비판이 없지는 않다. 그럼에도 현직 대통령으로서 처음 재산을 기부한 것으로 우리는 대통령의 선한 뜻이 충분히 존중해야 하며 그 취지 또한 높게 평가할만 하다.
이번 이 대통령의 재산기부를 계기로 우리는 우리 사회의 기부문화를 되돌아보고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선진국은 사회지도층의 기본 덕목으로 기부와 자선활동 참여가 의무로 자리잡은 반면 우리 사회는 아직까지 척박한 상황이다. 사회 지도층 보다 가난한 이웃의 선행과 기부가 오히려 더 의미있는 기부로 평가되는 것은 이러한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재산 사회환원 실천이 사회 지도층에게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신을 다시 되새기고 개인 기부의 확산에 나서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사회 전체적으로 기부문화 확산의 밑거름이 되도록 모든 사람이 힘써야 한다. 우리나라의 개인기부율은 년 10만원 정도에 머물러 있다. 110여만원이 넘는 선진국의 개인 기부에는 못미친다해도 최소한의 기부는 우리가 할 일이다. 교단 적으로 미자립교회 지원, 은퇴 목회자 지원, 서울신대 발전과 문준경 전도사 기념관 건립 등 교단 목적 사업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이 대통령의 재산 기부가 교단 내 기부문화가 확산되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