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락 교수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염려로 인해 대부분의 한국 교회는 정부 시책에 따라 온라인 예배로 대체하거나 정부가 제시한 안전 수칙을 지켜가면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켜가면서 예배를 드리려면 어쩔 수 없이 많은 성도들은 집에서 교회의 예배 실황을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화상으로 시청하는 온라인 예배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런 예배가 벌써 한 달이 넘게 지속되고 있다.

이렇게 예배를 드리면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줄어들기를 바라며 부활절 예배를 기다렸던 한국교회 성도들의 소망은 4월 19일까지 두 주 더 연장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청한 정부의 지침에 의해 다시 한 번 좌절을 맛보고 말았다. 이것은 지금 이 땅에 살아가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마주한 현실이다.

몇몇 대형교회에서 부활절을 연기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몇몇 목회자들은 필자에게 “부활의 기쁨을 전 교인들이 다 같이 누릴 수 없을까?”라는 질문을 하기도 했다. 필자는 이 지면을 통해 개인적인 의견을 밝히고자 한다. 필자의 생각은 부활절을 연기하는 것보다 부활의 기쁨을 적당한 주일에 온 교인들과 같이 누리는 것을 권하고 싶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부활절기: 기쁨의 50일
교회력 상 부활절은 사순절기 다음에 위치하지만 부활주일이 끝난다고 해서 부활의 기쁨과 감격이 하루 행사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독교의 교회력은 부활절 후 50일을 ‘기쁨의 50일’이라고 해서 성령강림주일 전까지 부활의 기쁨을 모든 교인들이 함께 누리도록 짜여있다.

부활절 하루의 행사가 아니라 50일을 부활절기로 지켰다. 이 시간에는 부활절에 세례를 받은 사람들과 기존의 성도들에게 성례전의 신비에 관한 설교를 하면서 그들이 드리는 예배와 그들이 받은 성례전에 대한 교육을 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즉 부활절은 부활주일의 단회성 행사가 아니었다.

주일: 작은 부활절
기독교의 전통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은 1년에 한 번 부활절에만 기념하면서 예배를 드리지 않았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짜는 1년에 한 번 돌아오지만 부활의 요일인 주일은 7일에 한 번 돌아온다. 초대교회에서부터 기독교인들은 주님께서 부활하신 날(안식 후 첫 날)인 주일에 예배를 드리며 그리스도의 부활을 찬양하고 기념했다. 즉, 부활절이 1년에 한 번 돌아오는 큰 개념의 부활절이라면 주일은 7일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작은 부활절의 개념이다. 주일은 작은 부활절이다. 

부활주일의 성례전
초대교회로부터 교회는 전통적으로 부활주일에 세례와 성찬예전을 거행하였는데 현대 교회도 이 전통을 따르는 교회들이 많다. 그렇지만 지금의 현실에서는 이번 부활절에 세례와 성찬을 거행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몇몇 목회자들은 필자에게 부활절에 온라인 부활절 예배를 드리며 온라인 성찬을 거행하는 것에 대해 문의하기도 한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반응하는 목회자들의 현실적 고민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례전은 오히려 하나님의 자기주심의 행위인 성례전의 의미를 온전히 전달할 수 없다.

필자는 오히려 이 상황이 조금 잠잠해지면 부활절기 기간 안의 어느 주일에 온 성도가 교회에 모여 부활을 기념하면서 세례를 거행하고 성찬을 나누며 부활의 감격을 누리는 것은 어떨까 생각한다. 부활절의 날짜는 연기되지 않지만 부활의 감격은 부활절기의 기쁨의 50일 내내 지속되며 또한 매 주일마다 예배를 통해 온 성도가 같이 누려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