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백서’·‘종교자유백서’ 발간
2000년대 이후 종교박해 급증
함경도 지역 48.7% 가장 많아
적발시 정치범수용소행 47.9%

북한의 종교박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북한인권정보센터(이사장 이재춘)는 지난 10월 23일 연례보고서 세미나에서 ‘2019 북한인권백서’와 ‘2019 북한종교 자유백서’를 공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북한종교 자유백서는 2007년 이후 입국한 탈북자 1만4,11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북한종교에 대한 자료수집으로 구성되었다. 그동안 대외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북한의 종교박해와 종교현황 등을 탈북자들이 직접 설문에 참여해 공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종교박해는 1950~1960년은 8건, 1970년 29건, 1980년 36건에 불과했지만 1990년 325건, 2000년대 이후 760건으로 급증했다. 이런 결과에 대해 정보센터 측은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식량난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탈북자가 대규모로 발생하고 이들을 매개로 종교가 북한에 유입되면서 종교박해도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종교박해는 중국과 인접하고 활발한 교류가 일어나고 있는 함경도(48.7%)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또한 탈북민들은 종교활동을 시작한 장소로 중국(29.9%)을 이탈주민 보호센터(34.1%)와 하나원(27.6%)에 이어 3번째로 꼽으면서 중국 인근에서의 전도활동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과 인접한 지역에서의 복음 전파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이로 인한 종교박해도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종교박해 종류로는 예배 등의 종교활동이 52.4%로 가장 높았으며 성경책과 십자가 등 종교물품 소지(23.9%), 종교전파(10.4%), 종교인 접촉(4.6%) 순이었으며 종교별로는 기독교 46.6%, 불교 3.3%, 가톨릭 3.0% 등으로 기독교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종교활동 적발 시 받는 처벌은 북한 사회에서 가장 높은 처벌을 의미하는 정치범수용소행(47.9%)이 가장 높았으며 한국의 교도소와 같은 교화소행은 10.7%로 종교활동에 대한 처벌도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북한은 최근까지 “평양을 제외한 지방에 당국이 인정하는 가정예배 처소가 있다”고 주장해왔지만 이것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민들은 “북한에서 평양이 아닌 지방에 당국이 인정하는 합법적인 가정예배 장소를 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98.7%가 ‘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종교시설(교회, 성당, 절 등)에 합법적으로 가본 경험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도 0.7%만이 ‘그렇다’고 응답해 일반인들의 종교생활은 원천적으로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탈북민의 1.2%가 “북한에서 종교 활동에 몰래 참가한 적이 있다”고 응답해 비밀리에 종교활동이 계속 이뤄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정보센터 측은 “몰래 참가한 적이 있다고 한 응답자 중 대다수가 2001년 이후 탈북한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2000년 이후 비밀 종교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근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밀 종교 활동을 목격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도 4.9%가 그렇다고 응답해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 탈북자들은 ‘성경을 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4.1%만이 “봤다”고 응답했으며 자신의 종교를 묻는 질문에는 기독교(41.1%), 불교(10.4%), 천주교(9.7%) 순으로 대답했다.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28.3%였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