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는 계획되어야 한다! 많은 설교자들이 월별, 분기별 목회계획에 따라 설교의 본문과 주제를 계획하지만 이정도로는 부족하다.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표로 만들어 책상위에 붙여 놓고 월별 계획표를 작성해보라. 설교의 새로운 변화와 회중들의 주목받는 설교를 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는 설교자의 스타일(style)이다. 설교의 내용과 목적 등에 따라 설교의 스타일에 변화를 줘라: *사자형(Herald)-전통적, 권위적, 선포적 태도를 유지. *목자형(Pastor)/상담자형- 설교가 회중의 필요로부터 출발하며, 설득적, 포근한 태도. *교사형(Teacher)- 교리 설교 등 지성적 전달을 목표로 한 설교에 어울리며 이성적이고, 교육적, 논리적 태도 견지. *부흥사형(Evangelist)-심령의 부흥을 목표로 한 설교에 적합하며 감성적 터치, 열정적 진행이 핵심. *이야기꾼형(storyteller)-스토리텔링 설교에 적합하며 실감나는 묘사, 감성어필, 감정이입 등이 주종을 이룸.
둘째, 설교의 형식을 다양하게 설계하라. 연역적 방식(설득적 대지설교, 절따라 설교하기)과 귀납적 방식(4각설교, 4페이지 설교, 스토리텔링설교), 그리고 연역-귀납 혼합설교(정반합설교, 양극설교 본문접맥적 주제설교)등을 골고루 사용하라. 특히 절기 때에는 교회 형편에 맞게 특수설교(영상설교, 찬송설교, 스킷드라마 설교, 교독설교, 편지설교, 2인 대화 설교, 질의식 대화설교, 역할설교, 실물설교 등)를 시도해 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셋째, 설교의 도입부도 다양하게 시도하라(놀라게 하는 문장, 질문 혹은 인용문, 재미있는 이야기, 역설적인 이야기, 비교, 새로운 발견, 문제제기, 시청각 자료 보여주기, 설교자의 체험, 설교와 관련있는 시의 낭독 등)
넷째, 설교의 종결부를 다양하게 시도하라(설교의 핵심 요약하기, 명언이나 성구 인용하기, 설교핵심과 관련된 간단한 예화, 실천적 적용 권면하기, 기도문낭송하기, 설교에서 거론한 예화 요약적 재반복하기, 적용촉구를 위해 회중에게 도전하기, 설교와 관계된 아름다운 시)
다섯째, 설교의 내용상의 구성인자를 미리 설계하라. 예를 들어 대지설교를 할 때에도 1대지를 본문설명-예화-경험적 진술-정언적 정리 등 아래 요소들 중에서 선별한 인자들을 미리 계획하여 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설교가 좀 더 논리적이고 균형을 맞출 수 있다(주석작업 통한 새로운 정보제공), 설교자 견해(해설), 인용(성구 혹은 명언 등), 예화, 경험적 진술, 핵심사항 정리 및 촉구).
여섯째, 수사적 치장을 계획하라. 점층법, 반복-열거법, 휴지기법(Pause), 절정의 처리(Climax), 감정이입, 휘몰이기법, 센스어필, 지선상의 아리아, 웅변체와 대화체의 조화, 대화법 등위의 내용들을 한 달의 설교계획표로 만들어 실행해 보라. 설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