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초반의 여성이 가까이와 “자리를 잘못 앉으셨네요.”라며 내어 주기를 바랐다. 깜짝 놀라 승차권을 꺼내 확인했다. 4호실에 타야 할 것을 3호실에 앉아 있었다. 뒷칸으로 옮겨 7D자리를 찾아 앉고 다시 잠이 들었다가 타고 내리는 소란스러움에 깼다. 평택역이다.
30대 후반으로 보이는 남성이 옆에 와 “제자리 같은데요.”라고 했다. 수원역에서 자리를 내어주고 3호실 뒤편에 4호실이 있을 것이란 짐작만으로 호실을 확인 안하고 옮겨간 게 실수였다. 내가 내 정신인가 싶고 무엇인가에 홀린 사람처럼 혼란스러웠다. 4호실은 3호실 앞부분에 있었다. 비어있어야 할 내 좌석엔 20대로 보이는 남녀가 나란히 앉아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었다. 비로소 내 자리를 찾았다는 안도의 마음을 갖게 된 내게 “뒷자리가 제 자리인데요 바꿔 앉으시면 안 될까요?” 그들이 양해를 구했다.
김천역에 내려 병원 장례식장을 찾아갔다. 영안실 빈소에 들어서면서 제일먼저 영정에 시선이 갔다. 비교적 건강해 보이는 얼굴에 엷은 미소를 띤 친구가 나를 반기는 것처럼 보였다. 그 순간 그가 투병 중 힘들고 외로워 할 때 좀 더 따뜻하게 다가가지 못했음이 미안했다. 그리고 두어 번 부질없이 지껄였던 말들이 후회스러웠다.
“이 사람아! 자네는 아내에게 큰 절 해야 하네.”
내가 그렇게 말할 때면 친구는 표정 없는 침묵으로 일관했었다. 그는 십 수 년을 고혈압과 당뇨로 고생했다. 그 후유증으로 시력도 보행도 자유롭지 않아 아내가 그림자처럼 따라다녀야 했다. 내 딴에는 친구 아내의 수고를 격려하려는 단순한 생각으로 했던 말들이었지만 지금 와서 생각하니 사려가 부족했다.
눈썹 하나도 짐이 되었을 노약한 아내에게 힘겨운 짐 덩어리로 얹혀서 버티던 그 친구, 정신적 부담인들 얼마나 컸을까. 그가 운명하기 전에 “여보! 고맙고 미안해. 당신의 보살핌, 하늘나라 가서도 잊지 않을 거야.” 이런 감사의 말이라도 전하고 떠났는지가 궁금했다.
영정 앞에 머리 숙여 예를 갖춘 후 친구에게 은밀히 말했다.
“자네 정말 잘 갔네. 이제 세상의 온갖 시름 내려놓고 편히 쉬게.”
진심어린 속말을 전하면서 열차 안에서 자리를 못 찾고 허둥대던 내 모습과 친구 영정의 모습이 겹쳤다. 겨우 찾은 자리마저 양보하고 남의 자리로 이리저리 떠돌다가 목적지에 내리게 된 것이 우연한 해프닝으로만 여겨지지 않았다.
평택역에서 김천까지 가도록 잠이 오지 않아 차창 밖을 내다보았다. 뭉게구름이 넘실넘실 내 쪽을 향해 밀려들고 있음이 보였다. 그 구름과 함께 지나간 세월이 살포시 가슴으로 스며들며 그 동안 내가 앉았던 수많은 자리들이 떠올랐다.
아들의 자리. 남편의 자리, 아버지의 자리, 형제의 자리, 친구의 자리, 국민의 자리, 그리고 성직의 자리까지, 그 많은 자리 중에 가볍고 수월한 자리는 없었다. 가장 마음에 부담으로 다가오는 건 충성스럽게 감당하지 못했던 성직의 자리다. 열차 안에서 남의 자리로만 빙빙 돌다가 목적지에 내린 것처럼 내게 맡겨진 어느 자리 하나 충실히 감당하지 못한 채 인생의 종착역에 가까이 온 지금, 마음이 한없이 무겁다.
새해가 밝아왔다. 이 한 해, 영성과 건강을 키우고 마음 밭엔 사랑의 꽃을 가꾸면서 주어진 내 자리를 최선을 다해 지킬 것을 또 한 번 다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