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대학교가 재정적 위기에 봉착했다. 지속된 등록금 동결과 대학 및 대학원 입학생 감소로 빚어진 일이다. 올해만 대학 재정이 8억 원 줄었다. 5년 후에는 57억 원 가량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이미 예견된 일이다.

이대로라면 대학의 수입은 갈수록 줄어 머지않아 재정적자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다. 어쩌면 개교 107년 만에 최대 위기에 빠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재정위기가 대학교육의 질(質) 저하로 이어지고 교육의 질 저하는 학생들의 진학선택과 교단 미래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대학 위기는 대학의 자체적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 위기의 원인이 대학 내부보다 외부에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방만한 경영이나 과다지출 등이 문제라면 자구적인 노력으로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학령인구 감소와 이로 인한 등록금 수입 결손을 대체할 재정적 지원을 외면한 채 경쟁과 경제적 효율성만 강조하는 교육부의 규제 탓에 손쓸 방법이 마땅하지 않은 처지이다.

서울신대는 2013년 이후 학령인구 감소와 정부의 정원감축 정책으로 입학 인원의 7%를 감축해야했다. 대학원에 입학하는 인원도 갈수록 줄고 있다. 이로 인해 등록금 수입이 234억 원에서 2017년 217억 원으로 17억 원 가량 줄었다. 또한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데 2012년 등록금을 5% 인하한 후 6년째 동결하고 있다. 반면 정부의 대학 경쟁력 강화 정책에 따른 교수채용과 교사확보 등의 비용이 증가하여 재정적인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태다.

그렇다고 대학의 기부금이 무한정 확충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지난해 대학의 기부금은 총 24억여 원으로 2016년보다 8억 원 가량 늘었지만 재정적 위기를 타개할 수준은 아니다. 장학금 등 지정기부금과 발전기금을 제외하면 경상비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은 고작 4억 여 원이다. 그나마 2011년 개교 100주년을 기점으로 후원금 모금은 하향세에 있다.

서울신대도 운영비 절감을 위해 관리비를 2014년 61억 원에서 2017년 46억 원으로 줄이는 등 허리띠를 동이고 있다. 인건비도 8년 동안 3%만 올려 경상비 지출을 최대한 줄였다. 하지만 대학이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재정문제 만큼은 홀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이다. 대학의  어려운 과제 수행을 위해서 대학구성원 등의 자체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성결인들이 이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서울신대는 우리 교단이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법인 이사를 파송하고 교단의 지도를 받도록 하고 있다. 대학 정관도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정신에 입각한 교역자와 지도자를 양성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학운영에 대한 책임과 의무가 교단에 있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재단 전입금은 3억 원이다. 법정부담금 13억 8,000만 원에 10억 8,000만 원이 부족하다.

향후 교단이 법정부담금을 100% 충족하지 못할 경우 대학평가에서 불이익도 받게 된다. 최근 정부가 교육정책을 대학의 자율성과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것은 재정능력이 없는 재단의 사립대학은 대학교육을 할 수 없다는 암묵적 경고다. 교육부가 요구하는 법정부담금을 교단이 충당하지 못할 경우 대학의 존립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서울신대의 위기는 결국 교단의 위기로 연결된다. 서울신대가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단의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다. 최소한이라도 법정부담금을 지원할 수 있는 총회의 정책적 결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서울신학대학교의 교육이 무너지면 교단의 미래도 무너질 수밖에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