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관계가 급속히 냉각되면서 중국은 자국 관광객들의 한국 입국을 불허하는 등 경제적 보복조치에 나섰다. 이런 여파는 중국 선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드 문제가 중국선교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봤다.

‘사드 배치’ 문제가 중국 선교에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선교사 추방이 대규모로 급박하게 이뤄지고, 우리 국민이 포함된 선교사 4명이 중국 공안에 체포되는 일도 벌어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9일 한국인이 포함된 선교사 일행 4명이 중국 공안에 체포됐다. 중국 연변 자치주 옌지시의 한 호텔에 머물며 선교활동을 벌이던 한국인 김 모씨와 미국 국적 박 모 목사 등은 출입국 관련 규정 위반 혐의로 체포돼 행정구류 5일 처분을 받았다. 이에 앞서 중국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한국인 선교사 32명이 중국에서 강제 출국 당했다.

중국 정부의 이번 강경 조치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로 인한 보복 조치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선교사들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던 중국 정부가 이처럼 갑자기 강경 조치에 나선 배경이 사드 배치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실제 추방된 선교사들의 전언이다.

추방당한 선교사들은 “탈북자 사역 등 중국과 북한을 자극할 만한 사건이 없는데도 강경했고, 집단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추방이 이뤄진 것은 과거와 분명 달랐다”며 “사드 보복 조치로 보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물론 중국의 선교사 추방은 사드배치 여파 보다는 외국인 포교를 금지하는 중국의 종교정책으로 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선교사 추방은 이전에도 있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2007년과 2012년에도 이미 많은 선교사가 추방됐다. 중국의 종교정책은 선교사들이 주로 사역하는 가정교회와 지하교회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앞으로도 비슷한 추방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

특히 중국정부는 연길을 포함한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 일대에서 사역하는 선교활동을 중점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이러한 조치로 최근 4~5년 사이 동북 3성(省) 지역 체류 한국인 선교사 수는 과거 800명에서 현재 400명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매년 100여 명의 한국인들이 선교활동 때문에 추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사드 여파까지 겹치면서 한인 중국선교사들의 활동은 더 위축되거나 아예 중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드가 배치되면 한국 선교사들이 추방될 것이라는 소문이 중국 선교사들 사이에 퍼지면서 벌써 한국으로 급히 돌아오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강제 추방되면 최소 5년 이상 재입국이 불허되기 때문에 일시 귀국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 선교하는 우리교단 모 선교사는 “중국 선교는 그전부터 어려웠지만 사드문제로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선교현장의 분위기는 좋지 않다”라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국내에서도 역시 당분간 중국 선교활동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일고 있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는 최근 회원단체들에게 중국 사역을 최대한 자제해 달라는 내용의 협조공문을 발송했다. 중국 정부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중국 내 선교사 모임을 갖지 말고 국내 교회와 단체들도 단기 선교팀 파송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다.

사드 보복으로 선교사들의 중국 진입 장벽도 높아졌다. 중국 당국이 한국인 비자발급을 까다롭게 하면서 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가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부분 선교사들은 신분을 감춰 학생비자나 방문비자를 받아 왔는데, 현재는 이런 장기 비자발급이 어려워졌다. ‘여행비자’를 신청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비자기간 때문에 선교사역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사실 중국은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비자발급에 대해 완화조치를 시행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만 그런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드배치 관련 한국 관광금지 조치 및 롯데 보복과 맞물려 한국인에 대한 비자발급 강화 조치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선교 당국의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우선 추방 선교사에 대해서는 후원과 돌봄 시스템 가동이 필요하다. 추방당하는 선교사들의 정신적 충격을 케어하고, 추방선교사들의 재배치 등 후속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또한 선교사들도 당분간은 중국 정부를 자극할 만한 선교활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단 선교국도 통신보안 강화, 중요 자료의 별도 관리 등 위기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선교사들에게 요청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