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본부가 국실장의 순환보직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한다. 감사위원들은 총회본부 전반기 감사를 실시한 결과 국·실장의 순환보직이 절대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로부터 총회본부의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고까지 했다. 1분기 감사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된 사항이다.

감사들이 순환보직을 강조하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효율적인 인원 재배치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험을 쌓게 해서 궁극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능숙한 관리자를 만들겠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한 자리에 오래 머물며 자칫 무사안일의 함정에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목적도 있다. 부서 간 업무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협업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총회에서 연관된 분야까지 골고루 알아야 제대로 된 정책 수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할 때 전문성만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인사 시스템이건 양면성이 있다. 지금 당장 국실장의 순환보직을 시행할 경우 득과 실을 철저히 따져야 한다. 모든 인사정책이 충분한 평가와 준비 없이 이뤄진다면 이 또한 졸속대책이 될 가능성이 커 걱정이 앞선다.

부서의 특성과 업무부의 고유성을 무시한 보직이동이 이뤄진다면 총회본부의 고유한 업무에 대한 능률과 전문성이 떨어질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고유 업무의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책임자가 갑자기 부처와 관련 없는 국실장으로 배치된다면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부서의 경우 정책의 일관성과 경쟁력이 저하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교단의 재산을 관리하고 교역자의 연금을 운용하고 관리 하는 업무의 경우 실무 책임자가 전문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

교육의 일관성과 전문성도 중요하다. 선교사를 관리하고 선교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역시 전문성과 경험을 무시할 수 없다.

순환보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현재의 추세와는 맞지 않는 측면도 있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우리는 타성에 젖어 관행적으로 되풀이되던 순환보직의 폐해를 눈물겹도록 맛보았다.

정작 시스템과 매뉴얼은 갖추어져 있었으나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무책임함과 비전문성이 더해져 아무 쓸모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린 경우가 결국 문제를 야기했다. 그래서 정부는 세월호 사건 이후 순환보직제 개선에 나섰다.

총회본부 순환보직도 서두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이에 앞서 총회본부 내부에서 의견 수렴도 필요하다.

인사정책은 소통과 합의 과정을 거쳐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일 것이다. 현재 시스템에 대한 성과와 평가도 해야 한다.

총회본부 인사 시스템과 업무 스타일을 고치지 않고 순환보직만 실시한다면 행정의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직제와 업무 분장을 통한 효과적인 직원 재배치가 먼저 이뤄진 후에 순환보직이 이뤄져야 조직에 흔들림이 없다.

무엇보다 총회본부 국실장은 3년 임기제다. 그 기간을 명시한 것은 업무 혼란을 피하고 미리 대비할 시간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다른 것은 현재의 총회본부 제규정을 따르면서 국실장 보직이동만 이미 폐기된 구법을 따르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시행된 지 1년이 지난 후에 경과조치로 순환보직만 예외를 두는 것도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다. 사정이 이렇게 돌아가니까 총회본부 국·실장 순환보직이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돌고 있다.

물론 사실이 아니겠지만 불필요한 오해와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도로 가야 한다. 전문성이 고려되지 않는 순환보직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무엇이 총회본부의 득이 될지를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