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대 기독교영성연구소, 봄 정기 세미나

예배의 영성을 목회학적 관점과 성경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영성연구소(소장 홍성혁 교수)는 지난 5월 16일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제2회 봄 정기세미나를 열었다. ‘예배와 영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는 이형로 목사(만리현교회)와 서울신대 조기연 교수(예배학)가 강사로 나서 각각 ‘목회 현장에서의 예배와 영성’, ‘예배, 영성의 보물창고’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첫 강사로 나선 이형로 목사는 “영성훈련 중 가장 근본적이고 우선적인 것은 예배훈련”이라며 “개인예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큐티가 선행되어야 하며 공적 예배와 개인적 예배는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경건의 시간을 통해 하나님께 신령과 진리로 예배드리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이 목사는 기드온용사화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회복축제’와 ‘섬김축제’를 소개하며 예배를 통해 상처받은 영혼들이 치유되고 그리스도의 용사로 세워지는 과정들을 설명했다. 그는 “시간이 문제를 해결해준다고 이야기하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더 곪아서 덧나게 할 뿐이다”라며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상처와 습관으로 병들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위한 성경적이고 균형잡힌 프로그램”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이 목사는 회복의 8가지 원리와 섬김의 8가지 원리들을 이야기하며 목회현장에서 경험했던 시행착오와 열매들을 설명했다.
두 번째 강의에서 조기연 교수는 ‘예배, 영성의 보물창고’라는 주제로 예배 안에 내포된 영성의 신학적 상징 의미에 대해 강연했다. 조기연 교수는 “신약시대의 예배는 예수님에 대한 제자들의 공동체적 경험을 기억해 내는 행위였다”며 “이런 행위는 단순히 예수님을 기억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성찬을 나눌 때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함께 하심을 경험했던 예배의 완성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 조 교수는 세례의 영성과 성만찬의 영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모든 사람들은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들어오게 된다”며 “그들은 매 주일 예배에 참석해 말씀과 성찬으로 영적인 양육을 받게 되며 이 모든 과정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행하신 위대하신 구원 행위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논찬에서 서울신대 김순환 교수(예배학)는 “예배와 영성을 목회학적 관점과 신학적 관점에서 깊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발표였다”며 “복음의 내용을 전달하는 모든 수단적 가치들은 교회와 신학이 함께 연구해야 할 몫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