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은하3호 미사일 발사에 이은 3차 핵실험으로 한반도가 짙은 먹구름에 휩싸이고 있다. 국제사회 모두가 반대해온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한반도 평화와 안녕과 공동번영에 대한 심대한 위협이며 대단히 실망스럽고 안타깝다.
핵실험 직후 남한 정부와 미국, 일본 등 유관국들은 유엔을 통한 대북 제재에 나서고 있다. 무역 제재와 다양한 사회문화적 교류의 제한이 불가피하고 남북한 사이의 대북교류와 민간단체의 지원 활동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에서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도 있으며 박근혜 정부에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우리는 알아야 한다. 대립과 갈등, 긴장고조는 서로의 자존심을 높이는 것을 될지언정 결국 남북 모두에게 피해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북한은 경제 제재로 인하여 궁핍이 계속되고 주민들은 기아와 굶주림에서 헤어나기 힘들 것이다. 남한은 국방비 지출 등으로 사회 전체의 복지 축소를 가져오고, 긴장의 고조는 외국 자본의 투자 기피로 인하여 경제적 위축이 불가피해 질 것이다. 결국 남북한 긴장은 회복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남북한 경제를 나락으로 떨어지게 하는 원인이 될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남북이 대화의 통로를 찾고 평화와 화해를 위해 대담한 합의를 일궈내어야 한다. 한반도의 평화의 첫 단계인 ‘생존’을 위해. ‘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서 대화에 나서려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정부 간의 대화가 어렵다면 민간의 통로를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새 정부가 비공식 대화 통로를 활용하여 남북한 대화 통로를 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평화 프로세스를 일궈 나가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