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학회 정기학술대회
“경쟁 아닌 보완적 협력관계
영혼의 개념-삶과 죽음 등
진지한 고찰도 당면 과제”

한국기독교학회는 지난 11월 8일 서울신학대학교 성결인의집에서 제54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AI와 기술시대의 영성’을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는 개회예배를 시작으로 주제강연과 연구윤리교육, 전체 토론, 학회별 모임 등이 이어졌으며, 정기총회와 폐회예배를 끝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주제강연은 올해 논문공모전에서 수상한 학자들의 발표로 진행되었다.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윤철호 박사(미래신학연구소 대표, 장신대)는 ‘인공지능과 인간 의식-과학철학적 논의와 신학적 성찰’을 주제로 AI가 인간과 같은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과학·철학적 논의와 기독교 신학적 성찰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윤 박사는 AI에 관한 신학적 논의를 소개하며 “신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독특성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았다는 사실에 있다”고 강조하고 “AI를 만들 수 있는 인간의 과학적 이성 역시 하나님의 선물로 주어진 능력이지만, 인간이 만든 AI의 의식은 결코 인간과 같은 수준의 공감 능력을 가질 수 없으며 하나님과 영적 관계를 맺는 것은 더욱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AI 연구의 지향점은 인간 대체가 아니라 인간성의 재발견에 있다”며 “이에 대해 경쟁이 아닌 상호보완적 협력으로 응답할 때 우리는 과학기술 시대 속에서도 참된 인간성과 공동체의 선을 보존하고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수논문상을 받은 박욱주 교수(연세대학교)와 이윤경 교수(이화여자대학교)가 각각 ‘마인드 업로딩의 인간학, 도덕적 창의성의 영혼론: 트랜스휴먼 신학 갱신을 위한 제언’, ‘포스트휴먼 신화: 에덴, 기술, 그리고 종말’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박욱주 교수는 포스트휴먼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보다 냉철하고 다각적인 인간성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AI 시대를 대비하려는 모든 연구자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기술적 이해도를 높여야 하고 무엇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성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며 “특히 영혼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신학적 인간학의 사유 전통과 유산은 도덕성 창의성 말고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논제들을 하나씩 고찰하는 것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윤경 교수는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죽음과 부활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이 교수는 “하나님은 왜 인간에게 생명나무로 가는 길을 허락하지 않았을까?를 생각해 볼 때 선과 악을 분별하며 유한한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 인간의 숙명이다”라며 “이것을 모르고 영생을 꿈꾸며 에덴으로의 회귀를 향한 테크노-유토피아 프로젝트를 추진하기에 앞서 우리가 과연 어떤 유토피아를 꿈꾸고 있는지를 먼저 진지하게 성찰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연 후 열린 총회에서는 한신대학교 강성영 총장이 27대 회장으로 선출됐으며, 감리교신학대학교 유경동 총장이 부회장으로 선출됐다.

직전 회장 황덕형 총장은 인사말에서 “AI가 펼쳐지는 앞으로의 사회는 우리들이 가장 시급하게 당면하고 있는 과제이자 도전”이라며 “이러한 상황 속 단순한 교리 해석을 넘어 인간과 세계, 그리고 역사 전반의 포괄적인 총체적 이해가 신학의 필수가 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