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A ‘통일이후 대비 7원칙’
“통일된 이름으로 북한 들어가고
주민들의 모임장소를 활용하고
지하교회 성도들이 주체돼야”
“통일 이후의 북한교회 회복은 한국교회의 연합 없이는 이룰 수 없습니다. 교단 이름이 아닌 복음의 이름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이사장 주승중 목사, 이하 KWMA)가 지난 7월 9일 한교총 상임회장단과 간담회를 열고 ‘통일 이후 북한교회 회복을 위한 7원칙’을 제안했다. 이날 강대흥 사무총장은 이단 대응과 선교지 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교단별 경쟁이 아닌 전략적 협력의 로드맵을 촉구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선교지 이단 대응 △선교사의 동반자적 선교관 정립 △통일 이후 북한교회 재건 정책 등을 핵심 안건으로 진행됐다.
강 사무총장은 “평양의 장대현교회 재건을 준비하는 곳만 여러 곳에 달한다. 교단별로 경쟁적으로 진출하면 혼란이 불가피하다”며 “통일된 이름으로 북한에 들어가고, 교회 건물보다는 주민들의 모임 장소를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또 탈북민 목회자들과 북한사역자, 학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도출한 7대 원칙을 소개하며 “이 원칙은 수정·보완이 가능하며, 한교총이 중심이 되어 구체화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우선 ‘북한 지하교회의 선도적 역할 인정’을 첫 원칙으로 삼았다. 70년간 박해 속에서 신앙을 지켜온 지하교회 성도들이 통일 후 북한교회의 핵심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한국교회의 섬김적 자세’를 강조했다. 한국교회가 외부자로서 북한교회 회복의 조력자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이다.
‘교단 연합과 협력 모델 수립’도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 기독교 선교 초기 선교사들이 선교지를 분할했던 역사적 모델처럼, 한국교회도 한교총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합과 협력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단주의 지양과 역사 기반 정책 수립’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또 강 사무총장은 북한교회 회복을 통해 ‘선교적 확장 기회 창출’을 이룰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여섯 번째 원칙으로는 ‘민족 동질성 회복과 세계선교 협력’이 제시됐다. 남북 교회가 협력해 민족적 연합을 이루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선교 사명을 완수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본질 중심의 교회 회복 지향’에 방점을 찍었다. 강 사무총장은 “개교단 확장 중심의 접근을 지양하고, 교회 건축에 과도한 재정이 소모되지 않도록 성경적 교회의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