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긴장완화 활동 지원하고
돌봄 등 봉사 협력한다고 약속
기후대응 기념일 등도 큰 관심
사학법 재개정에는 유보 입장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4일 2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한국교회와 관련된 공약들도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당시 별도의 기독교 관련 공약을 내세우며 교계와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한 바 있다.

기독교 관련 공약집에는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실천하는 기독교 등 종교시설과 협력 정책 강화를 비롯해 남북 긴장 완화와 관계 복원,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종교계 활동도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약속이 실려있다. 교회와 협력해 지역 공동체 회복과 국민통합을 이루겠다는 구상으로 해석된다.

가장 주목할만한 공약은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기독교 등의 종교단체와의 협력이다. 교회 등 종교시설을 활용한 돌봄 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적극 협력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미 많은 교회에서 예배당과 교육관 시설을 유아 및 어린이 돌봄을 위한 장소로 활용하고 있는 교회들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종교시설 에너지 비용 개편 방안을 종교계와 적극 소통할 것도 약속했다. 무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 시민들에게 쉼과 모임의 장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원을 기대할 만하다. 다만 재정이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향후 적극적인 예산 배정이 뒷받침되어야 할 부분이다.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장 장헌일 목사는 대통령의 공약에 대해 “종교시설의 사회봉사 및 돌봄 활동 지원 정책은 초저출생과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다양한 통합 돌봄 활동과 연결해 진행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에너지 비용 개편과 같은 구체적 지원 정책의 실행을 위해 정부와 종교계 간 지속적인 정책 협의와 예산 추계가 우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기후위기 대응을 종교계와 적극 협력하고 자살예방운동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는 한국기독교와 관련 기념일 지정 추진도 긍정적인 부분으로 읽힌다. 

이미 기후위기 대응은 월드비전 등 주요 기독 NGO 등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올해 사순절에도 한국교회 차원에서 탄소금식운동을 벌인 바 있다. 자살 등 생명존중운동은 한국교회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 전반적으로 함께 협력해야 할 부분이다. 

이와 함께 인구감소 문제 해소를 위한 종교계 지원 강화와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종교계의 활동도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다만 사학법 재개정과 학생 인권조례,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에 대해서는 선거기간과 공약에서 유보적인 입장을 보인만큼 향후에도 교계의 지속적인 대응과 관심이 요구된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전 마지막 기자회견 장소로 경기도 성남의 주민교회를 선택한 바 있다. 주민교회는 2004년 이재명 대통령이 정치 입문을 결심한 곳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