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 140주년을 맞아 한미 협력의 의미를 되새겨
이영훈·김장환 목사 등 한미 기독교 지도자 참석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지난 1월 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힐튼하와이언빌리지에서 ‘2025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미 지도자 기도회’를 개최했다. (사진=여의도순복음교회 제공)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지난 1월 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힐튼하와이언빌리지에서 ‘2025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미 지도자 기도회’를 개최했다. (사진=여의도순복음교회 제공)

여의도순복음교회(이영훈 목사)는 지난 1월 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힐튼하와이언빌리지에서 ‘2025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미 지도자 기도회’를 개최했다.

국내의 정치 변화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정책 변화와 국제 정세의 전환기를 맞아 열린 올해 기도회는 한미 양국의 기독교 지도자들과 정·재계 인사들이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양국 협력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2017년 6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처음 시작되어 뉴욕 하와이 애틀랜타 등 미국 주요 도시에서 매년 꾸준히 개최되어 온 기도회는 단순한 종교행사가 아닌 한반도의 평화와 양국 협력 모색, 기독교적 연대 강화 등을 위해 양국의 각계 지도자들이 함께 모여 기도하는 자리로 발전해 왔다. 무엇보다 한미동맹의 신앙적 기반을 재확인하고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한 공동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 왔다.

특히 기도회 개최지인 하와이는 1903년 첫 한인 이민자들의 땀과 눈물이 어린 역사적 장소이자, 한미관계가 시작된 곳이어서 그 역사적 의미가 큰 장소이다.

이영훈 목사는 기조연설에서 2025년이 한국의 개신교 선교가 시작된 지 14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임을 강조하며 한국 기독교가 걸어온 역사적 발자취를 되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목사는 “1885년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를 시작으로 수많은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에 복음을 전했다”며 “이들은 교회와 학교, 병원을 세우며 한국 사회에 교육과 의료 발전의 초석을 놓았고, 신앙을 통한 희망을 심었다. 이들의 헌신과 희생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기독교가 가장 부흥한 나라가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한미 기독교 지도자들이 하나님의 지혜와 인도를 구하며 협력을 다짐하는 것은 더욱 절실한 시대적 사명”이라며 “한미 기독교 공동체가 한반도 평화 정착과 신앙적 협력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신앙을 바탕으로 한 연대와 협력이야말로 한미 관계를 더욱 굳건하게 만드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기도회에는 한미 양국의 기독교 지도자들과 정·재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영훈 목사를 비롯 김장환 목사,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 이서영 호놀룰루 총영사, 서대영 하와이한인연합회장, 임호영 한미동맹재단 회장, 조중건 전 대한항공 부회장, 조민제 국민일보 회장, 백인자 한세대학교 총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도 릭 블랭지아디 호놀룰루 시장, 커티스 스캐퍼로티 전 한미연합사 사령관, 제임스 쉽리 미 해병대 태평양사령부 부사령관, 제임스 마로코 목사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사들이 함께 자리했다.

오하우 킹스처치 찬양팀의 찬양으로 시작된 기도회는 양국의 협력을 위해,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미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도록, 한반도의 평화와 세계 안정을 위해 각각 기도했다.

기도회에서는 한미 관계의 발전과 한반도의 미래를 위해 다양한 기도 제목이 선포됐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영적 부흥을 위해 기도가 이어졌다.

진유철 목사는 양국이 신앙을 바탕으로 더욱 깊이 협력하는 관계로 나아가길 간구하며, 기독교적 가치가 한미 동맹을 더욱 공고히 하는 기반이 되기를 기도했다. 대니얼 킴 군목은 평화를 지키는 사명을 감당하는 이들이 하나님께서 주시는 힘과 보호 속에서 맡은 바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기도했다. 트레이시 미구엘 목사는 한국과 미국이 신앙을 통해 하나 되며, 국가와 사회가 기독교적 가치 안에서 치유와 회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 간절히 간구했다. 이어서 이장균 목사는 남북한이 하나님의 뜻 가운데 평화적으로 통일될 수 있도록, 한반도가 진정한 평화를 이루어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나라가 될 수 있도록 기도했다. 기도 순서 후 제임스 마로코 목사의 축도로 마무리했다.

한편, 한미 지도자 조찬 기도회는 단순한 기도의 장을 넘어, 양국이 직면한 도전과제를 해결하는 신앙적 네트워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와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국제사회의 안정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미 지도자들의 연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