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이나 유신진화론을 넘어
주님의 ‘십자가 보혈’만 보도록
목회자가 세계신학 흐름 살펴야
200여년 전 찰스 다윈에 의해 진화론이 등장하더니, 그것도 유행을 타는지 지금 유신진화론이 나타나 이것이 옳으니 저것이 옳으니 창조론에 대비하여 말이 많다. 유신진화론자들은 어떻게 하든지 자신들의 주장을 종교, 문화, 자연과학에서 세계관의 중심이 되도록 전력을 다 하고 있다. 잘못 던진 주사위의 낭패를 스스로 바라보며, 어찌 할 수 없이 밀어 붙여 자신에게 유리한 것처럼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세상은 진화론에 기울어 있지 않다. 수세기를 통해 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치고 있긴 하지만, 배운 학생들 스스로가 이성과 양심에 의한 신념들을 가지고 있어서, 진화론을 따르는 자들도 있지만, 대부분 그대로 믿고 있지는 않다. 대신 타협하려는 입장으로 일부는 유신진화론을 대타 이론으로 꺼내들어 기독교 학자들도 이런 논리에 편승하여 진화론을 은근히 지지하고 있기도 하지만 대체로 진화론을 그대로 믿지는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리서치가 있다. 유발 하라리(Yuval Harari) 가 2012년 갤럽여론조사를 소개했는데, 이 조사를 보면, 비록 진화론 교육을 받았지만, 모두가 다 진화론자가 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에 의하면, 미국인 15%는 인간은 자연적 존재로 출발, 진화했다고 믿는다. 이는 자연주의자들이 주로 하는 말로써 진화론주의자들의 지지를 받는 내용이다. 32%가 인간초기부터 수백만년에 걸쳐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신이 이 사건전체를 지휘했다고 믿는다. 이는 유신진화론주의자 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뒷받침 하는 입장이다. 하나님이 진화를 주도하고 지금도 진화가운데 인간이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미국인 46%가 성경 그대로의 신이 지난 1만년 동안의 어느 시점에 지금 형태의 인간을 창조했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미국 학사학위 소지자들 중, 14%만이 인간은 신의 감독하에 진화했다고 믿고 있는 반면, 46%는 성경의 창조론을 믿는다 한다. 이처럼 비율로 본다면 창조론이 훨씬 높다. 이 내용만 보아도 지난 수백년 동안 진화론을 학교에서 가르쳤어도 수긍, 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아직도 문제는 언제 어느때 창조했느냐는 것인데, 이는 성경전체 정신에 대한 신앙고백으로, 믿음의 자세로 답할 수 밖에 없다. 대부분의 이단들이 그렇듯이 때를 강조하는데, 그것은 신학이 이미 인간학이 되었음을 말한다. 진화론자들은 그 때를 즐겨 말하는 습관들이 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느니라” 그대로 믿는 믿음이 하나님의 창조를 이해하는 첫 걸음이다.
진화론이나 유신진화론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인류에 대한 사랑의 십자가를 바라보며 나아가는 신앙을 가지도록 목회자들이 세계신학의 흐름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할 필요가 있다. 펜은 검보다 무섭기 때문이다.
The pen is mightier than s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