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협, 22대 총선 분석 토론회
“정책 생산-민의수렴 광장 됐으면”

선거 기간동안 교회가 후보자들이 방문해 한 표를 호소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기보다는 민의를 수렴할 수 있는 ‘타운홀 미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5월 17일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총무 김종생 목사) 언론위원회(권혁률 위원장)가 개최한 ‘22대 총선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서 장창일 기자(국민일보)는 주민들과 교인들이 교회에서 지역 현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장 기자는 “총선 이후 교회가 후보자들이 오가는 장소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서 정책을 생산하는 요람이자 민의를 수렴하는 광장이라는 정서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했다.

또 지난 총선에서 목회자들이 강단에서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지지나 낙선을 유도하는 발언이 적었던 이유로는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예배 도중 특정 정당이나 후보를 지지하거나 낙선을 유도하는 목회자의 설교나 발언을 금지한 공직선거법이 합헌이라는 판단이 나왔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는 역대 선거방송심의 중에서 법정제재가 30건으로 가장 많았던 선거였다. 특히 대통령이나 현 정권과 각을 세워왔던 특정 방송사가 17건의 법정제재를 받아 편향적인 심의를 본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양재규 변호사(언론중재위원회)는 선거방송·선거기사·인터넷선거보도 심의제도 등 3원 체제의 한계를 지적하고 심의제도 개선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선거보도 심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언론보도를 진단한 양 변호사는 “언론은 선거운동원이 아니다. ‘사실 검증’이라는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은 선거 국면에서 더 중요하다”며 “기계적 중립이 아닌 과도한 치우침과 편파성은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2023년 기준으로 국내 뉴스 이용자의 절반(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의 유튜브 뉴스 소비율의 평균 수치가 30%임을 고려하면 23%포인트나 높다.

최진응 조사관(국회입법조사처)은 “보수와 진보 성향으로 당파적 측면에서 유튜브 정치·시사채널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로 이용자들의 확증 편향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변상욱 전 CBS 대기자(한국기독언론포럼 공동대표)는 극심한 정치적 양극화 시대에서 교회의 조정, 중재, 통합의 기능이 더욱 절실히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