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그런데 매번 선거를 치를 때마다 기독 유권자들이 아쉬워하는 점은, 기독교 신앙을 가졌다 하는 정치인들은 많으나 실제 정치 현장에서 기독교 가치관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이들은 극히 드물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운동 과정에서도 그런 점들이 드러났다. 먼저 한국교회의 초미의 관심사인 포괄적 차별금지법 문제를 보자. 진평연, 거룩한방파제, 17개광역시도 악법대응본부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여·야 국회의원 후보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2일 서울시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국화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표했다.

그런데 696명의 후보자 중 총 111명이 답변해 응답률이 매우 저조했다. 정당별로는 진보당이 5%, 더불어민주당 7%, 새로운미래 11%, 녹색정의당, 12%, 개혁신당 14%의 응답률로 해당 설문을 회피하는 경향이 컸으며, 보수 성향인 국민의힘(26%)과 자유통일당(30%)은 비교적 응답률이 높았으나 그렇다고 크게 다르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주제별 정당 찬반율은 차별금지법 제정 반대가 응답자 중 국민의힘 88%, 더불어민주당 53%, 개혁신당 67%, 새로운미래와 자유민주당과 자유통일당은 100%인 반면, 녹색정의당과 진보당과 노동당은 응답자 전부 찬성 입장을 보였다.

낙태 이슈에 대해서는 더 처참했다. 성산생명윤리연구소가 5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 약 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태아생명인식도 설문조사는 충격적이게도 대다수의 후보들이 무응답 하였다.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 결과 응답한 후보자는 6명에 불과했다.

매번 국회의원들의 종교를 조사하면 대체적으로 기독교인의 비율이 40% 안팎을 기록한다. 이번 총선 후보자들 중에도 적지 않은 수의 기독교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기독교계에서 매우 높은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교회와 사회에 끼칠 영향이 매우 큰 이 같은 이슈들에 대해 이처럼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 

기독 정치인들이 먼저 달라져야 한다. 행실과 정책과 성과에서 자신의 신앙과 신념을 입증해야 한다. 기독 정치인이라면 당리당략이 기독교 가치관과 배치된다면 단호히 맞서야 하고, 그 누구보다 정의롭고 청렴결백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특히 실제 직무에서는 신앙적 가치를 전혀 반영하지 않으면서, 기독교인들 모임에 몇 번 참석해 신앙적인 발언을 하는 것으로 기독 정치인으로서의 의무를 다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또한 공식석상에서 과도한 신앙적 표현으로 타종교인들에게 반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러자면 기독교인들 또한 달라져야 한다. 기독교적 정치를 하는 기독 정치인이 있다면 전폭적으로 지지해 주고, 그 반대의 정치인이 있다면 제재해야 한다. 기독교인이 아무리 다수라 하더라도, 투표와 행동으로 나타내 보이지 않는다면 큰 의미가 없다. 정치인들은 소수라 하더라도 더 적극적으로 표심을 행사하는 이들을 더 의식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기독 정치인에 대한 혐오 내지 무관심은, 기독교 전체에 매우 해롭다. 이 세상의 모든 영역은 기독교 가치관으로 세워져야 하고, 정치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역 가운데 하나이다. 기독교 가치관에 입각한 정치를 할 수 있다면, 하나님 나라 건설에 지대한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