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년 93세…올해 ‘자랑스런 성결인상’ 수상도

   고 정웅 장로(중앙교회 명예)
   고 정웅 장로(중앙교회 명예)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지역 향토방위사단장으로서 강경 진압을 거부했다가 직위 해제 후 예편을 당한 정웅 전 의원(중앙교회 명예장로)이 지난 12월 23일 오전 10시경 서울 자택에서 소천했다. 향년 93세. 

전남 순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육군 호국군사관학교(육군보병학교로 통폐합)를 1기로 졸업한 뒤 6·25 전쟁 때 육군 소위로 소집된 것을 계기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전북대 ROTC 단장, 육군본부 감찰관실과 작전참모국 근무를 거쳐서 1980년 1월 소장 진급과 함께 광주 제31향토사단장으로 부임했다.

5·18 민주화운동 초기 강경 유혈 진압 지시를 거부했다가 사단장직에서 해임된 뒤 예편 당했다. 

1981년 제11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외부 강압으로 중도 사퇴했고, 1987년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부의장을 거쳐 1988년 광주 북구에 평민당 후보로 출마해 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당시 득표율은 91.45%였다. 같은 해 평민당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별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지난 5월 우리 교단에서 ‘자랑스러운 성결인상’을 받기도 했다. 

유족에 따르면 고인은 최근까지 회고록을 집필했다. 유족이 전달한 회고록 머리말에서 “(죽고 다친 광주시민과 국민뿐 아니라) 전두환 등 정치군인들에게 이용당한 대한민국 국군도 피해자”라며 “나는 대한민국 군인으로서 국민들에게 총을 쏠 수 없었다. 삼엄한 계엄 하에서 나는 상부의 명령에 불복하고 하나님의 명령에 복종하기를 선택하였다”고 적었다. 

또 1980년 5월 19일 낮에 광주 지역 기관장들로부터 “이러다가는 광주시민들 다 죽이겠다”는 항의를 받은 뒤 사단 작전참모를 불러 “지금 이 시간부터 상부의 강경진압명령을 무혈진압명령으로 전환하여 작전한다.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진압시 대한민국의 국민이 피를 흘려서는 안 된다”고 지시했고, 작전참모가 “구두 명령으로 하달하시겠습니까? 문서 명령으로 하달하시겠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문서 명령으로 하달한다”고 답변했다고 회고했다. 

고인의 유족은 부인 전성원 명예장로(중앙교회)와 장남 정대균 장로(중앙교회, 경희대 유전생명공학과 교수)와 자부 이현미 권사(중앙교회, 웨스트민스터대학원대학교 교수), 차남 정성균 장로(중앙교회, 서울신대 이사, 신한대학교 교수 )와 자부  윤정현 권사(중앙교회 오르가니스트) 등이 있다. 

한편 고인의 빈소는 24일 오전부터 강남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3호실에 마련되고, 27일 오전 발인을 거쳐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