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도, ' 비이성적 독단성'
한국기독교학회 학술대회, 그리스도인 인간성 성찰...지성·덕성 겸비한 신앙 과제
인간성 회복을 신학적으로 분석한 이번 학회에서 그리스도인 인간이해를 신학적으로 조망하고 인간성 회복에 대한 신학적 과제도 모색했다.
한국기독교학회장 정장복 목사는 인사말에서 “정신교육의 빈곤은 생명이 경시되고 가정이 파괴되는 사회를 만들어 내고 있다”며 “우리의 신학이 해야 할 일은 새로운 학설의 개발이 아니라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먼저 퇴색되어 가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첫날 주제발제에 나선 박종삼 목사(월드비전 회장)는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인간성 상실은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만 강조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박 목사는 “우리나라 그리스도인이 인간성을 상실하게 되는 배경에는 한국교회와 신학계에서 하나님과 인간과의 수직적인 관계는 강조하면서 인간과 인간의 수평관계는 소홀히 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복음전파와 외형확장에는 정력을 기울이면서도 전파된 복음의 실천과 봉사에도 소홀해 인간성 파괴를 막지 못했다는 것이다.
박 목사는 결국 인간의 생명을 위험에서 구해주고, 보호하고 양육해줄 수 있는 교회의 사역이 교회 내부의 전통과 교리, 예배의식에 머물면서 인간성 상실의 삶, 즉 ‘생명 인간성’이 빠졌다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따라서 “그리스도인의 인간성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이 신앙에 입각한 가난한 이웃들의 생명을 돌보아 줄 수 있는 생명력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국그리스도인 인간 품성의 기실과 형태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란 제목으로 발제한 김경재 박사(한신대 명예교수)는 한국 개신교 신자들은 일반적으로 역동적 적극성과 배타적 보수성을 지녔다고 주장했다. 복음의 역동성과 적극성을 지녔지만 타종교에 대한 지나친 배타성과 보수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박사는 또 예배와 찬양 등에서 감성적 격정성을 드러내고 비이성적 독단성이 보인다고 평가했다. 인간의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보다 이성적이 신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김 박사는 한국교회 신자들은 몰정치적인 초월성을 지향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정치이념에 예속되었고 국소적 분파주의에 빠져 있다고 비판하고 이런 점들은 반드시 치유와 혁신이 요청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신건 교수(서울신대)는 특강에서 하나님의 형상 등 신학적 인간학에 대해 분석하고 그리스도의 빛 아래에서 한국인의 인간상을 △하나님을 위한 존재 △이웃을 위한 존재 △만물을 위한 존재로 제시하고 참 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진정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기독교학회(회장 정장복 박사)는 오는 2013년 부산에서 열리는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를 통해 한국신학을 세계에 알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학회는 민중신학, 토착화 신학 등 한국신학 영문책자를 발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