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4호> 선관위의 강력한 공명선거 의지를 보며

2010-10-14     한국성결신문

내년 총회 임원 및 총무 선거를 이끌어 나갈 총회 선거관리위원회가 예비후보 입후보자를 공고했다. 당초 예비 후보 등록을 신청한 15명 중 1명의 등록이 거부되어 14명의 후보가 확정됐다. 이번 등록이 내년 5월 이루어질 선거에 그대로 유효한 것은 아니며 일부 후보가 정식 등록일인 3월 20일 전후로 사퇴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실제 후보 수는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예비등록 결과는 사실상 교단의 내년 출마 후보군이 공식화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교단 선거 분위기가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 것인지 교단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선관위의 공고 과정에 가장 주목되는 내용은 1명의 총무 후보의 등록거부다. 선관위는 후보의 등록 서류에 금권선거와 관련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내용이 담겼고 결국 이를 이유로 예비 등록을 거부했다. 후보 측에서 이러한 선관위의 태도에 불만을 제기했으나 수용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지고는 있지만 교단 안팎에선 논란이 적지 않다. 과연 등록서류상 관련 내용이 등록거부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냐는 것. 그래서 항간에는 선관위원회가 향후 교단 선거풍토의 개선과 금권선거 등을 강력히 대처하기 위해 희생양을 택한 것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번 선관위의 조치에 대한 찬반 유무를 떠나 향후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치가 더욱 강력해 질 것임은 명확해 보인다. 그동안 선관위의 조치가 솜방망이라는 인식이 교단 안팎에 퍼져 있었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선관위가 자그마한 선거법 위반 사항에 대해서도 경고와 등록취소와 같은 강력한 조치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교단 일각에서는 선관위의 조치로 인해 내년 총회 임원과 총무 선거가 어느 해 보다 공명하고 금권으로부터 자유롭게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겠느냐는 기대 섞인 분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선관위는 등록 후 진행된 예비후보자 초청 간담회에서 강력한 선거법 적용과 처벌을 공헌하고 나섰고 참석한 후보자들은 움찔했다는 후문이다. 선관위의 이러한 의지가 구체화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관위를 중심으로 한 불법 부정 선거운동에 대한 철저한 감시이다. 선관위는 이번이 총회를 위해 마지막 봉사를 할 수 있는 시기라고 여기며 보다 철저히 선거법이 지켜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특히 일부 후보들이 제기하고 있는 것처럼 후보들 간의 형평성의 문제가 잘 지켜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선이 이루어지는 일부 부문에서 총회나 지방회 등 교단적 직위를 이용하여 선거운동을 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은 단순히 일부 후보만의 시각은 아니기 때문이다.

선관위원 7명과 총회본부 사무국 역량으로는 이러한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불법부정 선거운동에 대한 적극적인 신고를 요청하고는 있지만 교단의 온정주의적인 정서를 볼 때 쉽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강조할 수밖에 없는 것이 후보자들과 대의원들의 적극적인 선거법 해석과 준수를 위한 실천 노력이다. 후보들은 교단 선거법에 따라 내년 4월 경 정식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까지 어떠한 형태의 선거운동도 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직간접인 방법으로 자신을 알리려는 행위나 관련성이 없는 지방회나 교회의 행사 참석, 개별적인 기부행위 등은 선거법으로 처벌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후보와 소속 교회의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총회 대의원들도 선거법을 명심하여 교단 지도자들이 선거법을 준수할 수 있도록 권면하고 만약 불법적인 선거운동을 할 경우는 과감하게 후보에게 경고하고 선관위에 이를 통보, 공명한 선거운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예비후보제로 성결교단 선거 풍토가 ‘성결’ 그 이름에 걸맞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인지 교단 안팎에서 지켜보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