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상담은 어떻게 하는가?
우울증 환자는 자기 자신과 자신의 미래, 그리고 자신의 경험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자기 자신을 결점이 많고 부적절하며 연약하고 아무 것도 없는 존재로 보거나, 불유쾌한 경험을 자신의 심리적, 도덕적, 신체적 결함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행복과 만족을 얻는데 필수적인 자질들이 자신에게는 결여되어 있다고 믿는다. 세상을 삶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극복 불가능한 장애물로서 자신에게 과도한 요구를 가해오는 존재로 생각한다. 미래에도 자신의 고통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만나기 단계
“상담자를 만나 본 느낌이 어때요?” 또는 “오늘 여기 와 보시니 느낌이 어떻습니까?” 라는 식의 질문으로 면접을 시작한다. 내담자가 비관적이거나 불안하다는 것을 표현할 수도 있다. 내담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많지만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담자는 한정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야 한다.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이해하고 경험하고 있는가. 죄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내담자가 개인적인 고통을 겪을 때 하나님의 역할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어떻게 하나님의 용서하심에 반응하는가 등을 탐구한다.
맞물리기 단계
우울증 내담자는 침울함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때로는 심각한 정서 문제로 인해 무력한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묘사하는 특정한 느낌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탐색한다.
내담자가 갖고 있는 부정적인 생각을 탐색한다. 자신을 결점이 많고 부적절하며 연약하고 아무 것도 없는 존재로 생각하는가. 불유쾌한 경험을 자신의 심리적, 도덕적, 신체적 결함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는가. 자신이 행복과 만족을 얻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자질들이 자신에게는 결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가 등.
절망감, 자살 그리고 도피 소망 등은 매우 중요한 우울증의 증상들이다. 우울증 내담자의 행위에는 우유부단함과 문제에 압도당하는 것과 자기 비난과 주의 집중이나 기억의 곤란 등이 있다. 우유부단한 이유는 그의 결정이 절대적으로 옳아야 한다고 믿기 때문인데, 상담자는 인생에서 절대적으로 확실한 것은 없다는 것을 설명해 주어야 한다. 압도 당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방법은 내담자로 하여금 그가 다루고자 하는 특정 문제를 정확히 가려, 그것을 다룰 건설적인 절차를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다.
끝내기 단계
끝내기 단계에서 우울증 내담자는 다양한 감정들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감정은 분노에서 슬픔까지 다양하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치료의 끝내기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느낌들을 명확히 하고 반영해줄 수 있다. 이런 감정들을 경험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논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