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목회상담> 목회 상담이란 무엇인가?
‘전략적 목회상담’의 저자인 데이빗 베너에 의하면 목회상담을 위한 현대적 도전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목회 상담의 모델을 찾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상담 목회의 모델을 찾는 일이다. 목회상담이란 곧 목회 돌봄의 범주 속에 자리를 잡고 있는 상담을 의미하지만 목회사역이라는 더 넓은 범주로 확대된다.
구체적으로 목회 돌봄은 환자방문, 임종 심방, 사별 위로, 성만찬 인도 등 목사와 교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목사가 돕기 위하여 만나는 일의 범위 전체에 해당한다. 목회상담도 목회 돌봄 활동 중의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둘은 기능상 구분된다. 첫째로, 목회 돌봄은 목사가 솔선하여 관계를 설정하나, 목회상담은 교인이 솔선하여 관계를 설정한다. 둘째로, 목회상담은 교인 개인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해결책을 찾는 데 관심한다. 반면에 목회 돌봄은 구체적인 개인의 문제 보다는 일반적인 삶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하나님의 현존 앞에서 직면하도록 돕는 신학적 이해에 관심한다.
끝으로, 목회 돌봄 활동은 신학적 확신에 근거하여 목사가 성서를 적용하지만, 목회상담은 교인의 이야기를 들은 후에야 신학적 판단아래 성서를 적용하는 것이 다르다.
목회상담이 목회 돌봄과 목회사역이라는 넓은 상황 하에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소위 평신도 기독교인들이 수행하는 기독교 상담과는 같을 수가 없다. 전자는 목회사역의 범주 속에서, 그리고 목회 돌봄이라고 하는 상황 하에서 수행되는 상담이지만, 후자는 전적으로 기독교적 가치와 상담의 실제를 통합하려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수행하는 상담이기 때문이다.
목회상담은 목회적 관계 안에서 수행되는 상담이고 기독교 상담은 임상적 관계 안에서 수행되는 상담이라는 사실에서 분명한 차이가 난다. 또 목회 상담은 분명한 영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기독교 상담은 보편적 기독교 가치에 그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도 차이가 있다.
목사는 상담자 그 이상이다. 목사는 교인을 다른 상담자들이 내담자와 갖는 관계와는 전혀 다른 관계를 갖게 된다. 목회상담은 일반 상담과는 달리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교인과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목회 돌봄의 제반 활동과의 종합적인 관계 속에서 상담이 수행될 수밖에 없으며, 목회적 책임과 돌봄의 상황 하에서 이루질 수밖에 없다.
향후 본 지면에서는 신학적 전제 아래서 목회상담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