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상으로 일제 ‘내선일체론’ 극복”
한국교회 140주년 기념세미나 “6·25전쟁 때도 반공주의 보루 계속 늘어나는 이주민 보듬고 교정시설-군대 선교도 힘써야”
한국선교 140년을 맞아 지난 사역을 돌아보고 향후 국가와 사회에서의 역할을 제시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교회법학회 학회장 서헌제 교수와 한국교회미래재단(이사장 소강석 목사)은 지난 11월 28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국교회 14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박명수 교수(서울신대 명예)는 기조발제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흐름에 기독교가 큰 영향력을 끼쳤음을 주장했다.
박 교수는 “한반도에 유입된 서구 사상은 무역이 아닌 선교를 통해 들어왔다”며 개항기 기독교와 함께 유입된 서구 사상으로 ‘우주를 창조한 절대자의 발견’, ‘개인 자유의 발견’, ‘근대문명을 위한 기관 설립’, ‘민족주의와 민족 언어 한글의 재발견’ 등을 제시했다.
또 박 교수는 “한국의 기독교는 일본이 조선의 모든 것을 일본화하려는 ‘내선일체론’을 내세울 때도 통합되지 않았다”며 “오히려 기독교는 미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후에 식민지배를 반대할 수 있는 탈출구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6·25전쟁 당시에도 기독교는 강력한 반공과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보루가 됐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는 부흥 운동을 통해 희망을 불어넣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강의에서는 이주민과 교도소, 군대에서 한국교회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구병옥 교수(개신대학원대학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이주민을 돌보는 일을 한국교회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 교수는 “한국 전체 인구 중 체류 외국인 수가 5%를 넘어서면서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다인종·다문화 국가가 됐다”며 “해외 선교와는 별개로 다문화 환경에 맞는 이주민 선교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소망교도소 김영식 소장은 한국의 교정시설 선교를 제안했다. 김 소장은 “교정시설에 주일예배 회복 등 종교활동의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또한 수용자가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상근 교목 제도를 회복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 소장은 법적 절차 외에도 한국 기독교에 교정시설에 대한 확산과 지원을 당부했다.
지상작전사령부 정비호 목사는 ‘군선교비전 2030’을 제시하며 군인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 목사는 “1992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30년 동안 진중 세례를 통해 배출된 인원은 약 460만 명이다”라며 “한국교회가 ‘군선교비전 2030’을 붙잡고 청년 선교지인 군 선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군선교비전 2030은 매해 10만 명씩 10년 동안 100만 명의 군 장병들을 하나님 앞으로 인도하겠다는 캠페인으로 2021년 시작되었으며 2030년까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