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다잉, 남겨진 슬픔 치유는 교회 몫”
신촌포럼 “삶-죽음은 동전 양면 삶은 죽음을 통해 성장하는 것”
제42회 신촌포럼(대표 박노훈 목사, 위원장 이상직 박사)이 지난 5월 9일 신촌교회 아천홀에서 열렸다. ‘웰-다잉(Well-Dying) 목회, 어떻게?’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은 김형락 박사(서울신대)와 윤득형 박사(한국애도심리상담협회 회장)의 강연 후 논찬, 질의응답 등으로 진행되었다.
첫 강연에서 김형락 박사는 기독교인의 웰-다잉의 조건으로 ‘자신’과 ‘가족 및 친족’,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누구든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 자신의 존엄성과 품위를 지키면서 세상과 이별하기 원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삶에 만족하고 자신과 관계를 맺었던 모든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죽음을 편안하게 마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김 박사는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기억과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독교인으로 웰-다잉을 맞기 위해서는 과거의 자신을 성찰해야 하고, 일그러졌던 관계를 회복해야 하며, 종교의 영역에서 하나님이 주는 은총 안에 있어야 한다”며 “나를 기억하고 나의 이야기를 하는 것, 나의 가족과 친지, 그리고 잊지 못할 주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기억과 이야기를 하는 것, 하나님 앞에서의 나의 삶을 고백하고 하나님께 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박사는 이런 요소들로 구성된 모범 의례를 구체적으로 예로 들며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결과를 잘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두려움으로 맞이할 수밖에 없는 인생의 필연적 통과 과정을 자신을 비롯한 사랑하는 가족과 친지,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을 지으시고 인생을 이끌어 주신 하나님과 함께 맞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두 번째 강의는 윤득형 박사가 ‘삶은 죽음을 통해 성장하고, 슬픔은 표혐됨으로 치유된다’를 주제로 강연했다. 윤 박사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기 위한 죽음에 대한 성찰, 그리고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남겨진 이들의 슬픔 치유에 대해 다뤘다.
그는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처럼 우리의 삶에 공존하고 있지만 현대인들은 마치 죽음이 없는 듯 살아가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죽음 교육(Death Education)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박사는 죽음 교육의 첫 번째 주제를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현재 주어진 삶을 더 잘 살아가는 것’으로 설명했다. 이는 유언장이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본인의 장례 계획 등 준비 이상을 의미한다.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까 보다 지금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소중함을 깨닫고 더 의미있게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주제는 남겨진 자를 위한 슬픔치유이다.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위로와 치유가 필요한데 교회가 이 부분을 감당해야 한다는 뜻이다. 윤 박사는 “슬픔은 시간이 지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을 통해 치유받을 수 있다”며 “특히 교회에서 위로의 방법으로 성경구절을 인용하는데 적절한 구절이 아닌 경우에는 오히려 상처가 될 수 있음을 꼭 명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죽음의 의미를 애써 설명하려거나 ‘하나님의 뜻’을 말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차라리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옆에 있어주고 손을 잡아주는 것이 큰 위로가 된다”고 말했다.
강의 후에는 김명한 목사(신림교회)와 전범진 목사(일심교회)가 각각 논찬했다.
이날 신촌포럼은 대표 박노훈 목사의 개회사 후 위원장 이상직 박사의 포럼 소개, 김양태 목사(신덕교회)의 기도 순으로 진행했다. 또 신촌교회 권사찬양단이 특별찬양을 했으며 포럼 사회는 전 서울신대 부총장 조기연 박사와 박종현 박사(신촌교회 협동)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