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한 목사의 「전도부인」
‘코로나 시대, 어떻게 전도할까?’
서울신대 대학원 외래교수이자 제자들교회 담임인 김경한 목사가 최근「전도부인」을 펴냈다. 김 목사는 이 책에서 변화무쌍한 ‘세상’과 변하지 않는 ‘복음’, 이 둘 사이에 ‘전도자’가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예배, 교육, 공동체, 나눔, 전도와 같은 교회의 기능이 모두 깨진 가운데 복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다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책에서 “새로운 일상(new normal)을 준비하는 교회는 본질을 고수하되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며 “갈수록 상반되는 교회와 세상이 복음으로 연결되야만 한다. 세상과 연결되고자 하는 마음, 접촉, 계획 등이 복음으로 꿰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렇다면 교회와 세상을 복음으로 연결시켜주는 사람들은 과연 어디에 있는가?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 김경한 목사는 과거 한국교회 초기 부흥을 견인했던 여자매서인(賣書人), ‘전도부인’(Bible Woman)들에게서 모델을 찾는다. 성경반포와 복음전도를 위해 어디든지 침투한 자들, 교회 설립을 위해 아낌없이 헌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이 해야 할 일에 대해 제시한다.
이 책은 비단 전도부인의 역사적 자료만을 담고 있지는 않다. 팬데믹과 같은 위기의 시간, 그들이 누리고 전했던 예수의 생명을 함께 나누고 있다. 무엇보다 전도의 3가지 요소인 ‘전도자, 복음, 세상’에 대해 그들이 어떻게 준비되었고, 활약을 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생명력을 지닌 한 사람이 필요한 시대다. 복음의 능력 안에서 감동을 줄 수 있는 ‘모델’이 절실히 필요하다. ‘엎드리고, 싸우고, 전하며, 찾아갔던’ 전도부인의 흔적은 아름다운 모델이 되기에 충분하다. 한국교회는 전도부인과 같이 다시 아파하는 이웃과 함께 아름다운 열매를 맺어가야 한다.
저자 김경한 목사는 “이름도 빛도 없이 사라졌지만, 한국교회 성장의 초석이었던 전도부인의 삶이 재조명되기를 기대한다”며 “이를 통해 시대를 품는 복음전도의 참 의미와 방향성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베드로서원/272쪽/1만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