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빈곤층 위한 사회 안전망 넓혀야…교회의 섬김사역·대안경제운동 등 도움

최근 가난과 빚에 시달리던 가족이 함께 자살하는 사례가 심심찮게 보도되는 등 빈곤계층울 대상으로 한 복지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절대 빈곤층을 구제하는 것도 문제지만 중산층이 점차 얇아지는 현상도 우리 사회가 현재 건강한 상태가 아님을 느끼게 한다.

사회적 불안과 계층 격차의 심화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본격화됐다. 그 이전까지는 신분 상승의 기대감과 희망이 존재했고 그런 긍정적 기대감이 국민 대다수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게 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하루아침에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이들이 적지 않게 생겨났고 그러한 신 빈곤층은 좀처럼 예전의 상태로 회복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빈부격차 심해져
지난해 우리나라 기초생활수급자로 최저생계비를 지원받은 사람은 13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7%를 차지했다. 그러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최저생계비 이하로 살아가는 절대 빈곤층은 41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차상위 계층까지 포함시키면 전체 인구의 12.5%가 빈곤층에 해당되는데 국민 8명 중 1명이 빈곤층이라는 것이다.

과거에는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해 빈곤층이 되었다면 현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도 빈곤상황을 못 벗어나는 사회적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문제는 빈부격차에 따른 사회양극화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태가 고착화될수록 국민통합, 사회적 안정과는 멀어지고 배금주의, 국민행복지수 저하, 생계형 범죄 증가 등 미래의 모습은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교회의 사회복지가 선교  
신 빈곤층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국가의 복지재원 마련과 지원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사회의 빈곤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는 것은 선교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지역선교 차원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회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다. 대형 교회뿐 아니라 많은 중소형 교회들도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도시락 배달, 무료급식, 지역아동센터, 문화교실, 어린이집 등을 운영하는 사례를 자주 볼 수 있다.

최근 통계를 살펴보아도 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하는 종교단체 500여 개 중 70%가 기독교라는 조사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전문 사회복지단체인 월드비전, 기아대책, 컴패션 등도 모두 기독교 단체라는 점에서 복지 부문은 일단 타 종교보다 기독교가 월등히 앞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본 교단이 현재 벌이고 있는 ‘그리스도인 섬김사역’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국의 많은 성결교회들이 김장나눔, 연탄배달에 동참하면서 소외이웃에게 사랑의 복음을 전하고 교단의 위상도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섬김사역이 이벤트식 일회성 사역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적어도 한 교회가 5년 이상 꾸준히 섬김사역을 실천할 때 그 진정성을 전할 수 있고 복음을 외치지 않아도 저절로 전도가 되는 열매를 거둘 수 있다.

교계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안경제운동도 주목할 만하다. 힘센 자만이 살아남는 신자유주의 무한경쟁의 시대 속에서 건강한 자본주의를 가능케 하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공정무역과 윤리적 소비,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운동 등이 그것이다.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이 운동들이 단기간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더라도 가난을 극복하고 자립과 자활의 의지를 북돋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