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개발·목회진흥 등 3개 분과 구성..이달말 정책세미나

지난 6월 교단 총회 결의로 ‘선교2세기 정책수립 특별위원회’가 구성됐다. 100주년 이후 성결교회의 새로운 미래상은 어떠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교단과 전국교회, 성결인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정책과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총회 결의 직후 총회 임원회와 공천부에서는 위원회 구성과 위원 파송 문제를 논의했고 3개 분과(정책개발, 행정개혁, 목회진흥) 40여명의 위원을 파송했다. 이들 3개 분과 구성에는 성결교회가 담아내고자 하는 정책방향의 틀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정책개발은 선교 2세기 성결교회가 나아가야 할 중점 방향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역할을 하며, 행정개혁은 10~20년 후 교단의 발전에 맞춰 행정체제와 조직운영 시스템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 목회진흥은 성결교회의 목회의 발전을 통해 교회부흥과 갱신의 영역에 관한 내용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하지만 위원회 구성 후 3개월이 지난 현재 성결교회는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 나름의 이유는 있다. 총회본부를 책임지며 정책개발의 산파 역할을 해야 할 총무가 새로 선임되어 업무파악에 시간이 필요했고 총회본부와 정책수립위원회의 역할 규정 등이 정확히 정리되지 못했던 것이다. 특히 기획실을 제외하고 정책개발과 집행의 실무 역할을 감당해야 할 총회본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불분명한 상황은 아직도 숙제로 남겨져 있다. 특히 총무 주도로 정책개발위원회가 구성되고 선교2세기정책수립위원회와의 주도권 갈등으로까지 비쳐지게 된 것이다.

선교2세기 정책수립위원회는 10월 28일 위원회 조직 후 사실상 첫 회의와 정책개발 세미나를 개최하고 정책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이 논의를 시작으로 보다 적극적인 정책노력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사실 성결교회 100주년 정책의 큰 방향은 100주년 계획서를 비롯해 올해 6월에 발간된 100주년 기념백서에도 담겨져 있다. 100주년 백서에는 3대 비전(성결교회 신앙과 신학의 강화와 통전적인 전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목회 구조의 미래화, 민족적 세계적 성결교회로서의 확장과 사역)에 근거해 9개 정책(성결교회 영성 및 양육 강화, 미래형 인재양성, 문화사역, 지역사회 섬김, 성결한국을 향한 전진, 세계속 성결교회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총회본부 각 부서의 발전방향 속에도 성결교회의 미래상이 담겨 있다. 이를 보다 구체화해야 하는 것도 위원회의 검토사항이다.

이제 남은 문제는 정책수립위원회와 총회본부의 적극적인 노력이다. 성결교회 2세기 정책은 결코 개인적인 아이디어나 단기적인 이슈에 집착해서는 안되며 특히 일부에서 우려하듯 차기 총무 출마와 관련된 움직임과 성과물로 포장되어서도 안된다는 것이 총회 안팎의 지적이다. 10년, 20년 후 성결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교단 모든 역량을 모으는 집약의 결과물이 정책문서로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위원회가 개괄적인 틀과 주요한 방향을 마련하는 역할이라면 총회본부는 정책개발을 든든히 뒷받침하는 틀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총무 주도의 정책개발위원회는 총무의 자문기구로서의 역할이 필요한 대목이다. 정책개발과 함께 총회본부와 전국교회, 목회자들과 평신도 대표들이 올해 1년간 ‘성결교회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여론화 과정도 필요하다.

예장통합 교단이 2002년부터 ‘정책총회와 사업노회’라는 구호로 대변되는 총회 기구개편과 조정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하나둘씩 실천하며 보완해 가는 모습을 잘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또 감리교가 본부의 정책능력을 극대화하고 정책을 기초로 하나둘씩 교단의 사업을 벌여 나가는 모습도 성결교회가 성찰해야할 정책수립의 한 모형이다.

특히 성결교회는 지난 10년 지역총회 논쟁 속에서 충분히 검토되고 고민되지 못한 정책이 교단의 역량을 소진케 한다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치밀하고 깊이있는 성찰이 그래서 더 요구된다. 설익은 정책이나 죽은 문서가 아니라 하나 둘 차분히 실현해 갈 수 있는 정책, 보완하며 현실화 시키는 정책을 생산해야 한다는 전국 성결교회의 기대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