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소통 조건은 긍정적인 표현, 공감대, 경청 등
진실된 자세 있을 때 제대로된 소통 가능

광화문 네거리에 연일 촛불이 넘실대고 있다. 정부와의 소통을 원하는 사람들이 촛불을 들고 광화문으로 모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날이 소통은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국민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는 여러 곳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다. 이 불통을 끊고 효율적인 소통을 이끌어내는 승리의 조건은 무엇일까?

너와 나의 생각 나누기 ‘소통’

소통이란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말의 오고 감이 아니다. ‘열린 소통의 기술’을 쓴 KBS 전인석 아나운서는 “소통에서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의 내용을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대화를 할 때, 상대에게 자신의 말의 내용을 알리는 것이 바로 소통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방에게 모든 내용을 이해시키기란 불가능하다. 때로는 축소되고 때로는 과장되기 때문이다. “왜 너는 그걸 이해하지 못하니?” “어쩔 수 없는 화성남자, 금성여자”라고 말해봤자 소용없다. 이미 불통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로 자신의 소통의 부재를 자책해서는 안 된다. 대화에서 불통은 그야말로 보편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통의 조건을 개선한다면 그것이 소통으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긍정의 힘

소통으로 가기위해서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까? 도서출판 레토릭 연구소 이희용 대표는 “부정적인 말보다 긍정적인 말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실생활에서 이를 지키기가 너무 어렵다. 이 대표는 요구하는 말을 피하라고 말한다. “그 계획안 6시까지 제출해” 라는 말 대신 “그 계획안 6시까지 하려는데, 가능한가?”처럼 선택의 여지를 주는 표현을 사용하라고 제안한다. 직접 선택한다는 생각에 책임감이 생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폄하하는 말투를 피해야 한다. 싸움의 가장 큰 적은 상대를 모욕하는 말이다. 상대의 자존심을 지켜주는 표현으로 효율적인 소통을 완성할 수 있다. 자신에게만 중요한 것은 사소한 것에 집착하지 않는 것도 소통을 원할히 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상대방과 자신 모두에게 중요한 것을 찾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간단명료하면서도 명확하고 책임감 있는 표현을 하라고 제시했다. 이외에도 적당한 속도의 말하기, 목소리 음량의 고저조절, 목소리의 톤 관리하기 등도 중요한 조건이다.

소통을 부르는 공감, 경청

이같은 기술적 조건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있다. 바로 공감대 형성과 경청이다. 이 대표는 “공감은 친절한 말, 연민이나 동정심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공감이란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제대로 읽고 표현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즉 상대에 대해 자신이 느낀 것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감정을 읽고 그것 그대로를 인정해주는 것이다. 또한 경청도 중요한 소통의 조건이다. 이 대표는 “최고의 대화 기술은 경청이다”고 강조한다. 그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었다. 한 백화점에 문제고객이 있었다. 매번 폭언과 욕설을 하며 상담직원을 괴롭히던 고객이다. 이에 백화점은 가장 능력이 뛰어난 직원을 고객에게 붙였다. 그러자 그는 단 네 번 만에 문제를 해결했고, 그 고객을 충성도 높은 사람으로 만들었다. 어떻게 한 것일까? 그는 몇 시간 동안 고객의 불만을 들어주고 ‘네’라고 때때로 의견에 동조해준 것뿐이라고 한다. 이처럼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를 열어두는 것은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 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소통이 완성된다.

소통으로의 마지막 계단, 진실함

기술적 조건, 공감대, 경청, 이 세 가지는 소통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들이다. 그러나 소통은 이외에도 한 가지 중요한 조건을 요구한다. 바로 진실함이다. 이때의 진실은 말하는 사람의 진실이다. 전인석 KBS 아나운서는 “아무리 유창하게 말을 하는 기술을 가져도 진실이 빠지면 단지 정보를 주고받는데서 멈춰버린다”며 소통에서 진실을 느끼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촛불집회 참석자들이 지속적으로 정부를 비판하는 것은 정부가 국민과 소통하기 위해서 기술적 조건만을 고민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민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경청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때라고 입을 모은다. 물론 진실은 선행조건이다.

저작권자 © 한국성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